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불안장애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htp 사람 그림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아동상담
- 도박중독
- 상승척도 쌍
- C군 성격장애
- 성격장애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반응성 애착장애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놀이치료
- 강박 및 관련 장애
- 성공지능
- 인지행동치료
- 오블완
- 신경발달장애
- 정신병리
- 이상심리학
- 지능과 창의성
- 성기능 장애
- B군 성격장애
- MMPI-2
- 마약류 중독 상담
- 급식 및 섭식장애
- dsm-5
- HTP
- 티스토리챌린지
- 성격심리학
- Today
- Total
목록오블완 (20)
내마음의 힐링
1. HTP의 실시방법 (1) 집 그림 - A4 용지 정도 크기에 백지와 연필, 지우개를 아동에게 제시한 후, 집을 그려보도록 지시한다. 이때 종이는 가로 방향으로 제시되어야 하는데, 아동이 종이를 수직으로 돌려서 그림을 그리는 경우 의미 있는 반응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시간 제한은 없으며, 검사자는 아동이 그림을 다 그리는 데 걸린 시간을 기록한다. 아동이 다 그리고 난 뒤에는 사후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아동의 대답을 그대로 기록한다. 사후질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된다. ⊙ 누구의 집인가?⊙ 누가 살고 있는가?⊙ 이 집의 분위기가 어떠한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나중에 집이 어떻게 될 것 같은가? (2) 나무 그림 - A4 용지 정도 크기의 백지와 연필, 지우개를 아동에게 제시..
1. 정신분석적 관점- 투사적 그림검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핵심 가정은 사람이 그린 그림은 내면의 핵심적인 정신역동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정신분석적인 것이다. 이는 프로이트가 인간의 행동이 무의식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 정신결정론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투사적 그림검사를 정신분석적 관점에 기반하여 해석한 대표적인 학자로는 마코버(1949)와 레비(1958), 해머(1958)를 들 수 있다. 마코버는 사람 그림은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대한 표상이며, 종이는 환경에 해당되고 사람 그림은 그 사람 자신에 해당된다고 가정하였다. 마코버에 따르면, 개인은 성장과정에서 신체 부위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감각이나 지각, 감정을 경험하고, 그 결과로 신체상이 발달하며, 그림에는 이러한 신..
1. 사람 그림검사 및 관련 검사 (1) 사람 그림검사 (Draw-a-Person test, DAP)- 마코버(1949) 등이 개발한 검사로, 사람을 그려보도록 하고 사후질문 과정을 실시함으로써 자기상, 신체상, 이상적 자기, 성 정체감 등 성격 구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집 - 나무 - 사람 그림검사 (House - Tree - Person test, HTP)- 벅(1948, 1964)이 개발하고 벅과 해머(1969)가 발전시킨 것으로 집, 나무, 사람을 그려보도록 하는 검사이다. 따라서 이 안에 사람 그림검사가 포함되며, 사람 그림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외에 부가적으로 성격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나무 그림은 무의식적인 수준의 성격 구조를 드러내주는 것..
- Nicholls와 Miller(1983, 1985)는 과제 난이도와 능력 간의 관계와 운과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한 아동의 이해 역시 나이에 따라 변화함을 보여 주었다. 능력과 과제 난이도를 구별하여 생각하는 것은 자기중심적인 수준에서 객관적인 규준을 따르는 발달적 순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략 3~5세 정도의 자기중심적 수준에 있는 아동은 과제 난이도를 자신들의 능력에 비례하는 것으로 본다. 만약 그들이 과제를 할 수 있으면 그 과제는 '쉬운' 것이고 그 과제를 할 수 없으면 그 과제는 '어려운' 것이다. 게다가 과제가 쉬우면 그들은 그 과제를 잘하거나 똑똑하다고 생각하며, 과제가 어려우면 자신이 과제를 잘하지 못하거나 똑똑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자기중심적인 관점에 따라 아동은 다른 아동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