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군 성격장애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MMPI-2
- 반응성 애착장애
- HTP
- 급식 및 섭식장애
- 불안장애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성기능 장애
- 성격장애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신경발달장애
- 성공지능
- 도박중독
- 오블완
- 지능과 창의성
- 인지행동치료
- 상승척도 쌍
- 이상심리학
- 마약류 중독 상담
- 티스토리챌린지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강박 및 관련 장애
- C군 성격장애
- htp 사람 그림
- 놀이치료
- 아동상담
- dsm-5
- 성격심리학
- 정신병리
- Today
- Total
내마음의 힐링
정신장애의 범주와 유형ㅡ2 본문
7. 외상 - 및 스트레스 사건 - 관련 장애(Trauma - and Stressor - Related Disorders)
- 충격적인 외상적 사건이나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한 후, 그 후유증으로 심각한 부적응적 증상들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1)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 양육자에게 애착 외상을 받아, 양육자에 대해서 거의 항상 정서적으로 억제되고 위축된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2)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ment disorder)
- 애착 외상을 경험한 아동이 처음 본 사람을 아무 거리낌 없이 부적절하게 과도한 친밀감을 나타내거나 낯선 사람을 아무 주저함이 없이 따라가려는 경우를 말한다.
(3)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PTSD)
- 어떤 충격적인 외상적 사건을 경험하고 난 이후에, 그 후유증으로 1개월 이상 다양한 부적응적 증상들(예: 사건에 대한 기억, 심상, 이미지, 플래시백의 자동적 침투증상 및 회피행동)이 재경험되는 경우를 말한다.
(4) 급성 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
- 모든 면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주요 증상과 동등하지만, 증상 기간이 3일 이상 1개월 이내로 짧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5)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
- 확인 가능한 어떤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적응 실패로, 정서적 또는 행동적 문제들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8.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s)
- 의식, 기억, 행동 및 자기 정체감, 환경지각의 통합적 기능에 붕괴가 일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해리장애는 강한 심리적 쇼크를 경험한 후 갑자기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1)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한 사람의 내면에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정체감을 가진 성격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전에는 다중성격장애로 알려졌던 것이다.
(2) 해리성 기억상실증(dissociative amnesia)
- 자신의 중요한 개인적인 과거경험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과거에는 심인성 기억상실증으로 불렸던 것이다.
(3) 이인증/비현실감 장애(depersonalization / derealization disorder)
- 자아 감각에 어떤 변화가 초래되어 평소와는 달리 자신의 경험이 매우 낯설게(이질감) 느껴지거나 주변 환경이 예전과 달라졌다고 느껴지는 비현실감을 지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경우를 말한다.
9.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 원인이 불분명한 신체증상을 호소하거나 그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걱정을 나타내어 부적응적 문제들이 초래되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은 심리적 요인과 깊은 관련이 있다.
(1) 신체증상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
- 의학적으로는 신체적 질병이 없는데도, 1개 이상의 신체적 증상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걱정을 6개월 이상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2) 질병불안장애(illness anxiety disorder)
- 실제로 건강에 문제가 없는데도, 자신의 몸에 심각한 질병이 있다는 생각에 집착하여 과도한 공포와 불안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DSMㅡⅣ에서는 건강염려증으로 불렸던 것이다.
(3)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 신경학적 손상을 암시하는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의 이상을 호소하지만, 의학적으로 증상의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전환장애는 허위성 장애와 꾀병의 중간정도에 위치한 정신장애로 여겨진다.
(4) 허위성 장애(factitious disorder)
- 단지 환자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 신체적, 심리적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거나 위장하는 경우를 말한다. 허위성 장애는 동정과 관심을 유발하려는 목적만 있을 뿐, 다른 어떤 외적인 이득(예: 경제적 보상, 법적 책임의 회피)을 취하려는 의도가 없다는 점에서 꾀병과는 다르다.
10. 급식 및 섭식장애(Feeding and Eating Disorders)
- 개인의 건강과 심리사회적 기능을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음식섭취와 관련되어 부적응적 문제가 초래되는 경우를 말한다.
(1) 이식증(pica)
- 먹으면 안 되는 것(예: 흙, 종이, 헝겊, 풀, 치약, 머리카락 등)을 1개월 이상 습관적으로 먹는 경우를 말한다.
(2) 반추장애(rumination disorder)
-음식물을 반복적으로 토해내거나 되씹는 행동을 1개월 이상 습관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3) 회피적/제한적 음식섭취 장애(avoidant / restrictive food intake disorder)
- 음식이나 먹는 것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고, 먹는 것을 가급적 회피하고, 먹더라도 매우 제한적으로만 먹어서 심각한 부적증적 증상들(예: 체중감소, 영양실조)이 초래되는 경우를 말한다. 회피적/제한적 음식섭취 장애는 DSMㅡ5에서 새롭게 추가된 진단명이다.
(4)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 체중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 때문에 음식섭취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거나 거부함으로써 체중이 비정상적으로 저하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신경성 식욕상실증 또는 거식증이라고도 한다.
(5)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음식을 먹어대는 폭식행동과 이로 인한 체중의 증가를 막기 위해 구토 등의 보상행동(예: 스스로 토함 또는 설사제, 이뇨제, 관장제의 사용)이 반복되는 경우를 말한다. 신경성 폭식증은 신경성 식욕항진증이라고도 한다.
(6)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 폭식행동을 일삼으면서 폭식 때문에 고통을 느끼지만, 구토 등의 보상행동은 나타내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폭식장애는 DSMㅡ5에서 새롭게 추가된 진단명이다.
11. 배설장애(Elimination Disorders)
-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흔히 진단되는 장애인데, 대소변을 가릴 충분한 연령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가리지 못하고 적절치 못한 장소(옷이나 침구, 마루)에 배설하는 경우를 말한다.
(1) 유뇨증(enuresis)
- 배변훈련이 끝나게 되는 5세(대개 만 48개월) 이상의 아동이 신체적인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옷이나 침구에 소변을 보는 행동이 연속적으로 3개월 이상 매주 2회 이상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2) 유분증(encopresis)
- 4세(대개 만 36개월) 이상의 아동이 적절치 않은 곳(옷이나 마루)에 대변을 보는 행동이 최소한 3개월 이상 매달 1회 이상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12. 수면 - 각성 장애(Sleep - Wakw Disorders)
- 수면의 양이나 질에 문제가 있어서 일상생활에 심각한 부적응적 증상들이 초래되는 경우를 말한다.
(1) 불면장애(insomnia disorder)
- 1주일에 3일 이상 밤에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는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불면장애는 수면시작 불면증, 수면유지 불면증, 수면종료 불면증의 3가지 유형이 있다.
(2) 과다수면장애(hypersomnolence disorder)
- 불면장애와 반대로 하루에 최소한 7시간 이상 수면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졸린 상태가 지속되거나 지나치게 잠을 많이 자는 상태가 1주일에 3일 이상 나타나고,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3) 수면발작증(narcolepsy)
- 주간에 갑자기 저항할 수 없는 졸음이 엄습하여 잠을 자지 말아야 하는 상황에서도 수면에 빠지게 되는 상태가 1주일에 3번 이상 나타나고,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기면발작 또는 기면증이라고도 한다.
(4) 호흡 관련 수면장애(breathing - related sleep disorder)
- 수면 중 호흡곤란이 자주 나타나서 수면에 큰 방해를 받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5) 일주기 리듬 수면-각성 장애(circadian rhythm sleep - wake disorder)
- 수면-각성 주기의 변화로 인해 과도한 졸음이나 불면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를 말한다.
(6) 수면이상증(parasomnias)
- 수면 상태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행동이나 경험을 말한다. 수면이상증은 ①비 REM수면 각성 장애(수면 중 보행, 수면 중 경악), ②악몽장애(끔찍하고 무서운 악몽), ③REM수면 행동장애(꿈 실현 행동), ④초조성 다리 증후군의 4가지 유형이 있다. 초조성 다리 증후군은 DSMㅡ5에서 새롭게 추가된 진단명이다.
13. 성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s)
- 원만한 성교행위를 방해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성기능 장애를 말한다. 성기능 장애는 남성 성기능 장애와 여성 성기능 장애로 구분된다.
(1) 남성 성욕감퇴 장애(male hypoactive sexual desire disorder)
- 6개월 이상 성적인 욕구를 지속적으로 느끼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2) 발기장애(erectile disorder)
- 성행위에 대한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경이 발기가 되지 않아 성교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6개월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발기장애는 흔히 임포텐스 또는 발기부전이라고도 한다.
(3) 조루증(premature ejaculation)
- 여성의 질에 성기를 삽입한 후 약 1분 이내에 또는 자신이 원하기도 전에 너무 일찍 사정하게 되는 일이 반복적으로 6개월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4) 지루증(delayed ejaculation)
- 사정에 어려움을 겪으며 성적 절정감을 느끼지 못하는 일이 반복적으로 6개월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남성 절정감 장애라고도 한다.
(5) 여성 성적 관심/흥분 장애(female sexual interest / arousal disorder)
- 성행위에 대한 관심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거나 결여되어 있고, 성행위 시에 성적 또는 신체적 흥분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가 반복적으로 6개월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불감증이라고도 한다.
(6) 여성 절정감 장애(female orgasmic disorder)
- 적절한 성적 자극이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절정감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가 반복적으로 6개월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여성 절정감 장애 역시 불감증이라고도 한다.
(7) 생식기-골반 통증/삽입 장애(genito - pelvic pain / penetration disorder)
- 성교 시에 생식기나 골반에 심한 통증을 경험하여 성행위가 고통스럽게 느껴지는 일이 반복적으로 6개월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DSMㅡⅣ에서는 성교 통증장애로 불렸던 것이다.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에서 인용함.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의 5요인 이론 (0) | 2023.09.19 |
---|---|
정신장애의 범주와 유형ㅡ3 (0) | 2023.09.19 |
정신장애의 범주와 유형ㅡ1 (0) | 2023.09.15 |
청소년 성중독-2 (0) | 2023.09.10 |
청소년 성중독-1 (1)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