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tp 사람 그림
- htp와 khtp 심리진단법
- B군 성격장애
- 상승척도 쌍
- HTP
- 불안장애
- 이상심리학
- 성기능 장애
- dsm-5
- 티스토리챌린지
- 강박 및 관련 장애
- 오블완
- 놀이치료
- 정신병리
- 인지행동치료
- 반응성 애착장애
- 도박중독
- 급식 및 섭식장애
- 성격장애
- 아동상담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C군 성격장애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마약류 중독 상담
- MMPI-2
- 성격심리학
- 지능과 창의성
- 신경발달장애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Today
- Total
목록지능과 창의성 (5)
내마음의 힐링
1. 창의적 성격의 개념 - 창의적 성격이란 창의성을 발현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향이나 성격적인 특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창의적 성격이 중요한 이유는 창의성이 발현되는 데 있어 창의적 사고만큼이나 중요하기 때문이다. Amabile(1989)는 창의성의 요소모델에서 창의성과 관련된 기술로 창의적인 사고와 행동기술을 언급하였다. 사람들이 창의적인 방법으로 과제를 수행할 때는 특별한 행동양식, 사고양식, 그리고 성격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면서 이러한 특성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을 뛰어넘는 창의적인 수행에 기여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Sternberg와 Lubart(1996)의 창의성 투자이론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인성적 특성으로의 성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속성..
1. 창의성 연구의 역사 - 창의성이 인간의 주요한 지적 특성으로 여겨져 왔지만, 학문적 관점에서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1950년 미국심리학회 회장 취임 연설에서 Guilford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미미함을 강조하였다. Guilford의 연설 이후 창의성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고 심리학과 교육학 분야에서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산업계에서도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창의성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러나 1950년 이래호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많아질수록 더 많은 개념이 난무하게 되었고 창의성이라는 용어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었다. 최근 창의성이란 용어를 그 어느 때보다..
1. 분석적 사고 향상 전략 - 분석적 사고 향상 전략에는 문제 확인하기, 자원 배분하기, 정보표상과 조직화하기, 전략 세우기, 문제해결 전략 점검하기, 해결책 평가하기 등이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분석적 사고 향상 전략 및 내용 》 향상 전략 내용 문제 확인 하기 • 문제해결지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무엇이 문제인지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 문제를 확인하는 능력은 능력검사로 간접 측정 가능 • 문제를 적절히 정의하는 능력은 학업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매우 중요함 • 교사는 공부하는 주제가 무엇이든 학생들이 그것에 대해 기초적인 질문으로 생각하는 것을 제시하도록 학생을 격려함 자원 배분 하기 • 문제해결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간, 노력,다른 자원을 어떻..
1. 성공지능의 구성요소 - Sternberg는 삼원지능이론의 구성요소인 요소 하위요인, 경험 하위요인, 맥락 하위요인을 성공지능의 분석적 지능, 창의적 지능, 실용적 지능으로 발전시켰다. 《 성공지능의 구성요소 및 내용 》 성 공 지 능 삼원지능 구성요소 개인-외부 환경관계 성공지능 구성요소 내용 요소 하위요인 개인 내적 세계 분석적 지능 •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고 논리적 과제 해결에 적용하는 능력 • 효율적인 정보처리과정 • 분석, 판단, 평가, 비교, 대조하는 능력 경험 하위요인 내적-외적 세계 매개 창의적 지능 • 관련 없는 요소를 연관시켜 새로운 것을 창출 • 반복적인 경험을 자동화하는 능력 • 창조, 발견, 발명, 상상, 탐색하는 능력 맥락 하위요인 개인 외적 세계 실용적 지능 • 주어진 환경..
1. 성공지능의 개념 - 성공지능(successful intelligence) 이론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학습능력과 관련된 전통적 지능 개념이 비활성 지능(inert intelligence)이라고 비판하면서 그동안 IQ에서 제외되었던 창의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을 지능에 포함 확대하여 완성한 이론이다. 성공지능이론에서는 개인의 삶의 기준,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성공을 얻어낼 수 있는 능력을 다룬다. - 성공지능은 Sternberg(1996)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그의 삼원지능이론을 발전시킨 것이다. 그는 전통적인 일반지능의 개념을 인간 삶의 전 영역에서 성공에 필요한 지능으로 지능의 개념을 확장시켰다. 성공지능은 자신이 정의한 성공기준에 따라 자신의 사회문화적 상황 속에서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고 약점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