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신병리
- 반응성 애착장애
- 오블완
- 도박중독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htp 사람 그림
- dsm-5
- 티스토리챌린지
- htp와 khtp 심리진단법
- MMPI-2
- 신경발달장애
- 급식 및 섭식장애
- B군 성격장애
- 지능과 창의성
- 불안장애
- 강박 및 관련 장애
- 상승척도 쌍
- 마약류 중독 상담
- 아동상담
- 성기능 장애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성격장애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C군 성격장애
- 놀이치료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이상심리학
- 성격심리학
- HTP
- 인지행동치료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51)
내마음의 힐링
1. 반항성 장애란 1) 정의 및 특성 반항성 장애라고 진단이 내려지기 위해서는 나이가 비슷하고 동일한 발달 수준에 이른 다른 사람에게서 전형적으로 관찰되는 것보다 그런 행동이 더 빈번해야 하고 그런 행동이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기능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해야 한다. 이 장애의 표현은 대부분 집에서 나타나는데 학교나 지역사회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잘 알고 있는 성인이나 친구관계에서 더 잘 나타나고 따라서 임상적 관찰 중에는 분명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2) 원인 (1) 개인 내의 문제 - 이런 아동은 내적 충동에 대한 통제력이 결여된 특성을 갖고 있다. - 불안감이나 죄책감 같은 감정도 참기 어려워한다. - 환경적 유혹을 이기지 못한다. - 과거의 경험을 잘 기억하지 못하기도 한..
1. 발달 놀이치료 - 발달놀이치료의 핵심은 존재와 친밀감이다. 발달놀이치료 접근에 대한 틀을 제공하는 성격이론은 Ainsworth, Bowlby 등의 대상관계이론과 애착이론이며, Barnard와 Brazelton, Des Lauries, Harlow, Spitz 등이 수행했던 접촉에 관한 연구가 발달놀이치료의 개념을 뒷받침하고 있다. 아동을 위해서 아동과 충분히 함께하는 성인과의 신체적 접촉을 반복적으로 경험한 아동은 언제나 자신의 신체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감각-자기 내부의 집, 중심지-을 지니게 된다. 또 그 자신을 어떻게 세울 것인지를 알게 된다. 아동은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기 때문에 자신이 필요한 것을 어떻게 요구할지도 알게 된다. 2. 치료놀이의 치료방법 1) 놀이치료실 - 간단하고 기능적이고..
1. 기본가정 첫째, 아동이 스스로 대처능력을 갖지 못하고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할수록 직접적인 개입이 더욱 필요하다. 둘째, 치료사가 사회적 기준, 문화적 관습 등에 대해 어떻게 느끼든지 간에 아동이 처한 특수한 환경을 아동이 짊어져야 할 짐이라고 여기지 않아야 한다. 셋째, 모방과정은 다른 어떤 개입방법보다 가치 있는 것이다. 2.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네 가지 기본 치료기법 1) 비구조적 자료와 비구조적 방법 -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다. 자신을 의식하지 못하는 행동을 보이는 아동, 지나치게 충동적인 아동, 적대감과 공격성을 아무 이유 없이 분출하는 아동, 이유 없이 위축 되고 환경을 거부하는 아동은 구조가 거의 없는 치료과정으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치료자는 두 가지 역할, 즉 강화해 주는 긍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