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신경발달장애
- 지능과 창의성
- 오블완
- 성기능 장애
- 불안장애
- B군 성격장애
- 상승척도 쌍
- 아동상담
- 도박중독
- 급식 및 섭식장애
- 정신병리
- 인지행동치료
- HTP
- 놀이치료
- 강박 및 관련 장애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이상심리학
- 반응성 애착장애
- dsm-5
- C군 성격장애
- MMPI-2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성격장애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마약류 중독 상담
- 티스토리챌린지
- htp 사람 그림
- 성격심리학
- 성공지능
- Today
- Total
내마음의 힐링
심리성적 발달① 본문
- Freud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주로 치료받고 있는 몇몇 성인 사례에서 도출했다. 그럼에도 그는 아동기 동안에 성격이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관한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는 초기 경험이 성인의 성격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Freud는 성격 발달이 일련의 단계를 거쳐 간다고 보았다. 각 단계는 성감대를 반영하는데, 그 시기 동안 그 영역을 통해 성적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그것을 심리성적 단계라고 부른다. Freud의 견해에서 아동은 세 단계에서 갈등에 직면한다. 갈등이 잘 해결되지 않으면 과도한 에너지가 그 단계에 영구적으로 투자된다. 이 과정을 고착이라 한다. 이는 그 이후의 단계에서 갈등을 다루는 데 이용할 에너지가 줄어듦을 의미하며, 결국 다음 단계에서 갈등을 성공적으로 해결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이런 의미에서 각 단계는 이전 단계에 근간을 두고 형성된다.
- 고착은 두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특정 단계에 지나치게 탐닉하는 사람은 그 단계를 떠나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것을 꺼릴 것이다. 욕구가 깊이 좌절된 사람은 욕구가 충족될 때까지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없다. 이 두 경우 모두에서 리비도의 일부가 그 단계의 관심에 투자됨으로써 성격은 부분적으로 그 단계에 고착된다. 고착이 강할수록 더 많은 양의 리비도가 그곳에 투자된다. 매우 강한 고착의 경우는 다른 단계를 위한 에너지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을 만큼 그에 강하게 매이게 된다.
(1) 구강기 (oral stage)
- 구강기는 태어나면서부터 대략 18개월까지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 유아가 세상과 맺는 상호작용의 대부분은 입과 입술을 통해 발생하며, 만족은 그 영역에 집중된다. 입은 긴장 감소의 원천이고 쾌락적 감각(맛보기, 핥기, 빨기)의 원천이다. 게다가 유아는 자신의 생존을 전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의존한다. 이 단계의 기본 갈등은 이런 배려의 종식과 글자 그대로나 상징적으로 관련되는 젖을 떼는 과정이다. 즉, 이 단계의 끝 무렵이면 아동은 엄마를 떠나게 해 주고 엄마에게 덜 의존적이 되라는 점차 증가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
- 구강기에는 두 하위 단계가 있다. 첫 단계(대략 6개월까지 지속되는) 동안 유아는 특히 무력하고 의존적이다. 유아는 다소 제한적으로 사물을 받아들이는 데만 머물기 때문에 구강기의 첫 번째 부분은 구강 합병 단계라고 불린다. Freud는 이 시기에 유아가 어떤 경험에 노출되느냐에 따라 낙관주의와 신뢰와 같은 몇 가지 독특한 성격 특성이 발달한다고 생각했다. 유아가 경험하는 세상이 덜 지지적인 것이라면 비관주의와 불신이 발달한다. 세상이 지나치게 도움을 많이 주면, 유아는 타인에 대한 강한 의존성을 발달시킬 것이다. 구강기의 두 번째 부분은 이가 나면서 시작된다. 이는 구강 가학 단계라 불린다. 이제 성적 쾌감은 물기와 씹기에서 나온다. 이 시기 동안 유아는 젖병이나 젖을 떼고 음식을 물고 씹기 시작한다. 구강 가학 단계 동안 발생하는 특성은 새로이 획득하는 이런 능력에서 비롯된다. 이 단계는 이후의 삶에서 누가 언어적으로 공격적이고, 누가 대화 시 신랄한 풍자를 사용할지를 결정한다고 여겨진다.
- 일반적인 용어로 구강기 특성을 지닌 사람은 세상과 입을 통해 연결된다. 그들은 다른 사람보다 먹고 마시는 것에 더욱 몰두하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다른 사람보다 입과 관련된 활동(흡연, 음주, 손톱 물어뜯기 같은)을 통해 긴장 감소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 또 화가 나면 언어적 공격을 할 것이다. 구강기 특성을 지닌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서 지지를 받는 것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더 편해지도록 만드는 일을 할 것이다. 이런 묘사가 정확한가? Joseph Masling과 동료들은 구강적 심상에 대한 검사 결과가 비만과 알코올리즘 모두와 의미 있게 관련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구강성은 또한 대인관계에 대한 흥미와 사회적 기술에 대한 측정치와도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구강적 심상의 사용은 타인을 양육하려는 욕구와 상관이 있었고, 대인관계 효율성과도 관계가 있었다. 구강적 심상이 높은 사람은 대인관계 과제에 더 기꺼이 자원하고, 모호한 과제를 하는 동안에는 타인의 판단에 더 의존했다.
- 좀 더 일반적으로는 구강적 심상을 보이는 사람은 타인에게서 친밀성과 지지를 얻으려는 동기가 높아 보이고,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민감하다. 그들은 구강적 심상을 덜 보이는 사람보다 사회적 고립과 거부에 대한 미묘한 단서에 더 큰 생리적인 반응을 보인다. 아울러 그들은 덜 구강적인 사람보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 좀 더 많은 신체적 접촉을 사용하고 좀 더 자기 개방적이다.
(2) 항문기 (anal stage)
- 심리성적 발달에서 항문기는 약 18개월에서 3세까지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 항문이 핵심적 성감대이고 성적 쾌감은 배설 시 발생하는 자극에서 나온다. 이 시기의 주요한 사건은 배변 훈련의 시작이다. 많은 아동에게서 배변 훈련은 내적 충동의 만족에 대해 외적 제약이 체계적으로 부과되는 첫 시기에 해당된다. 배변 훈련이 시작되면 아동은 자신이 원하는 아무 때, 아무 장소에서나 배설할 수 없고 대신 모든 것에는 적당한 때와 장소가 있다는 현실을 배워야 한다.
- 이 시기에 고착되어 나타난다고 하는 성격 특성은 부모와 양육자가 배변 훈련을 어떤 방식으로 했는가에 달려 있다. 두 가지 방식이 전형적이다. 하나는 아동으로 하여금 바람직한 시간과 장소에서 배설하도록 촉구하고 성공에 대해 아동을 아낌없이 칭찬하는 방식이다. 이 접근은 배설 과정에 많은 관심을 두고 아동에게 보상을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동은 적당한 때와 장소에서 무언가를 생산하는 것의 가치에 대해 확신하게 된다. Freud는 이 경험이 성인기 생산성과 창의성의 기반을 제공한다고 본다.
- 배변 훈련의 두 번째 접근은 좀 더 혹독하다. 잘한 일에 대해 칭찬하기보다 실패에 대한 처벌과 조롱과 수치심에 강조점이 있다. 이런 훈련은 아동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 성격 패턴을 낳는다. 만약 아동이 부모가 별로 원치 않을 때 힘차게 배설해 버리는 반항이라는 적극적인 패턴을 선택하면 일련의 항문 배출적 특성이 발달한다. 이는 주위를 더럽히고, 잔인하고, 파괴적이고, 적대감을 밖으로 표출하는 경향이다.
- 만약 아동이 대소변을 참으면서 끝까지 보유하려 하면 일련의 항문 보유적 특성이 발달한다. 항문 보유적 성격은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데 있어 완고하고 강박적인 스타일이다. 때로 이런 양식을 만들어 내는 성격 특성은 항문기 3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인색함, 고집, 그리고 질서 정연함이 그것이다. 인색함은 변을 보유하려는 바람에서 나온다. 고집은 배변 훈련에 대한 의지의 투쟁에서 나온다. 질서 정연함은 변으로 더럽히려는 것에 대한 반동형성이다. 그러한 패턴이 존재하는 것 같다. 한 연구에서 가장 큰 항문적 불안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 남자 대학생은 가장 강박적으로 깨끗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심리학 성격에 대한 관점"에서 인용함.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존주의 심리학(existential psychology) : 존재와 죽음 (2) | 2024.09.03 |
---|---|
심리성적 발달② (1) | 2024.09.02 |
불안과 방어기제② (1) | 2024.08.31 |
불안과 방어기제① (2) | 2024.08.30 |
성격심리학의 용어 설명② (0) | 202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