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신병리
- 신경발달장애
- dsm-5
- 인지행동치료
- HTP
- 이상심리학
- 급식 및 섭식장애
- 오블완
- 성공지능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마약류 중독 상담
- B군 성격장애
- 놀이치료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강박 및 관련 장애
- 성격심리학
- 상승척도 쌍
- C군 성격장애
- 성기능 장애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도박중독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MMPI-2
- htp 사람 그림
- 반응성 애착장애
- 성격장애
- 불안장애
- 아동상담
- 티스토리챌린지
- 지능과 창의성
- Today
- Total
내마음의 힐링
심리성적 발달② 본문
(3) 남근기 (phallic stage)
- 남근기는 3~5세까지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 리비도 흥분의 초점은 생식기관으로 옮겨진다. 대부분의 아동이 생식기를 만지는 데서 오는 감각적 쾌락을 자각함에 따라 자위를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성적 욕망의 자각은 본질적으로 완전히 자기 성애적이다. 즉, 성적 쾌감이 완전히 자기 자극에서만 나온다. 그러나 점차 리비도는 반대 성의 부모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소년은 엄마에 대한 관심이 발달하고, 소녀는 아버지에 대한 관심이 발달한다.
- 엄마를 차지하고 아버지를 대신하려는 소년 쪽에서의 욕망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한다. 소녀에게서는 이에 비견할 만한 감정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또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라 부른다. 이런 콤플렉스는 많은 면에서 유사한 힘을 반영한다. 그러나 그 힘들은 소년과 소녀에게서 다르게 나타난다.
우선 소년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보자. 두 가지 변화가 발생한다. 엄마에 대한 소년의 사랑이 강한 성적 욕망으로 전환된다. 아버지에 대한 그의 감정은 적대감과 혐오감 쪽으로 변화한다. 왜냐하면 아버지는 엄마의 애정에 대한 라이벌이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년의 아버지에 대한 질투와 경쟁심은 매우 극단적이 되어, 그는 아버지가 가족에서 없어져 버리거나 죽어 버리길 원할 수도 있다. 그런 생각은 죄책감을 유발할 수 있다. 동시에 소년은 아버지가 자신에게 복수할 것이란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전통적인 정신분석 이론에서 소년의 두려움은 상당히 구체적이다. 즉, 소년은 아버지가 그의 성적 욕망의 원천을 제거하려고 자신을 거세할 것을 두려워한다. Freud는 이를 거세불안이라 불렀다.
- 궁극적으로 거세 불안은 소년으로 하여금 엄마에 대한 자신의 성적 욕망을 무의식 속으로 밀어 넣게 한다. 거세 불안은 또한 소년을 아버지와 동일시하게 만든다. 여기서 동일시란 누군가와 유사하고 관련된다는 느낌을 발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몇 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 그것은 소년에게 일종의 '보호색'을 제공한다. 자신의 아버지처럼 됨으로써 아버지가 자신을 해칠 가능성을 줄이는 것 같다. 둘째, 아버지의 바람직한 측면과 동일시함으로써 소년은 그에 대한 양가감정을 줄인다. 따라서 동일시 과정은 소년이 아버지의 가치를 내재화함에 따라 초자아가 발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준다. 마지막으로 소년은 아버지와 동일시함으로써 엄마를 향한 그의 성적 충동을 위한 대리적 출구를 얻는다. 즉, 소년은 아버지를 통해 엄마에게 상징적으로 접근한다. 아마도 소년이 아버지를 더욱 닮을수록 무의식적으로 더 쉽게 아버지를 대신한다는 환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소녀의 경우는 남근기의 갈등이 더욱 복잡하다. 앞서 언급했듯이, 소녀는 아버지와의 새로운 애정관계를 위해 엄마와의 애정관계를 포기한다. 이런 변화는 소녀가 자신은 남근이 없다는 것을 깨달을 때 발생한다. 소녀는 자신의 거세된 상태에 대해 엄마를 비난하기 때문에 엄마에게서 사랑을 철회한다. 동시에 소녀의 애정은 남근을 가진 아버지에게로 끌린다. 궁극적으로 소녀는 아버지와의 성적인 결합을 통해 그의 남근을 공유하든지 상징적으로 남근에 상응하는 아기를 제공해 주기를 바라게 된다.
Freud는 이런 감정을 남근 선망이라고 했다. 남근 선망은 소녀에게 있어 소년의 거세 불안에 상응하는 것이다. 정서적 갈등은 소년처엄 동일시를 통해 해결된다. 더욱 엄마처럼 되어 감으로써 소녀는 아버지에게 대리적 접근을 하게 된다. 또한 아버지 같은 사람과 결혼할 가능성을 높인다.
- 남근기 동안 발달된 고착은 결국 오이디푸스 갈등과의 씨름을 계속하는 성격을 낳는다. 남성은 자신이 거세되지 않았음을 보여 주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여성을 유혹하거나 많은 아이의 아버지가 되는 것도 서슴지 않는다. 남성성을 주장하려는 시도는 그들이 직업에서 위대한 성공을 함으로써도 상징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그들은 엄마의 사랑을 두고 아버지와 경쟁한 것에 대한 죄책감 때문에 성적, 직업적인 삶에서 실패할 수도 있다.
- 여성의 경우 오이디푸스 갈등의 지속은 남성과의 관계 방식으로 나타난다. 유혹적이고 경박하지만 내부에 있는 성욕은 부인한다. 이러한 관계 방식은 먼저 자신의 아버지를 향해 발달한다. 그녀는 처음에 아버지에게 끌렸지만 이 시점에서는 처음에 그녀를 끌어당겼던 성적 욕망을 억압한다. 그러고 나서는 이런 패턴이 그 후의 사회적 관계로 이어지게 된다. 이런 여성은 유혹적 행동으로 남성을 흥분시켜 놓고 그 남성이 성적 접촉을 원하면 놀란다.
Freud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인식한 것이 가장 의미 있는 자신의 이론적 기여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이 간단한 말은 사랑, 혐오, 죄책감, 질투, 두려움으로 가득 찬 매우 큰 정서적 혼란을 내포한다. Freud는 아동이 남근기의 갈등과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가 그들의 장차 성, 대인관계에서의 경쟁력, 개인적 적절감에 대한 기본 태도를 결정한다고 믿었다.
(4) 잠복기 (latency period)
- 처음 세 단계 동안에 발달하는 고착은 성인 성격의 기초가 된다. 남근기가 끝나면 아동은 잠복기라 불리는 비교적 고요한 시기로 접어든다. 6세에서 10대 초에 이르는 이 기간은 성과 공격적 충동이 덜 활발한 때다. 이런 충동의 약화는 일부는 자아와 초자아의 출현에 기인한다. 이 기간 동안 아동은 지적이거나 사회적인 성질을 지닌 성적이 아닌 다른 것을 추구하는 데 주의를 돌린다. 사춘기의 시작과 함께 잠복기가 종결되면서, 성적이고 공격적인 충동은 다시 강해진다. 또한 이전 기간의 갈등에 다시 직면하게 된다. 청소년은 성인의 성적 욕망을 갖게 되지만 성교는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자아의 대처기술이 심각하게 검증되는 때가 바로 이 시기다.
(5) 성기기 (genial stage)
- 청소년기 후반과 성인기에 사람들은 성기기로 이동한다. 만약 초기의 심리성적 단계가 잘 해결되어 왔다면 리비도가 성기 주변에 조직화되어 안정된 상태로 이 단계에 들어온다. 그리고 일생 동안 그에 집중된 채 남아 있게 된다. 그러나 이 단계의 성적 만족은 초기 단계의 그것과는 다르다. 구체적으로 말해 초기의 애착은 자기애적이었다. 아동은 단지 자신의 성적 쾌감에만 관심이 있었다. 타인은 아동 자신의 쾌감을 더해 주는 한에서만 관심의 대상이었다. 성기기에는 누군가와 상호적인 성적 만족을 나누려는 욕망이 발달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기적 이유 때문만이 아니라 이타적 이유 때문에 타인을 사랑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사람과 따뜻하고 돌보는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 그들의 복지에 관심을 갖는 능력이 성기기의 핵심 특징이다.
- Freud는 사람들이 나이만 들면 자동적으로 성기기로 들어가는 것은 아니며, 이런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기는 상당히 어렵다고 믿었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이 해야 하는 것보다 스스로의 충동을 덜 통제하며, 성적 욕망을 완전히 만족하고 수용할 만한 방식으로 충족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다. 이런 점에서 성기기적 성격은 당연히 달성되는 종착점이라기보다 추구되어야 할 이상에 해당한다. 그것은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볼 때 심리성적 발달의 완벽한 최고 정점이다.
◆"성격심리학 성격에 대한 관점"에서 인용함.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심리학의 용어 설명④ (2) | 2024.09.05 |
---|---|
실존주의 심리학(existential psychology) : 존재와 죽음 (2) | 2024.09.03 |
심리성적 발달① (3) | 2024.09.01 |
불안과 방어기제② (1) | 2024.08.31 |
불안과 방어기제① (2) | 202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