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마약류 중독 상담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성기능 장애
- MMPI-2
- dsm-5
- 상승척도 쌍
- 지능과 창의성
- 신경발달장애
- 성격장애
- 놀이치료
- 이상심리학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정신병리
- 강박 및 관련 장애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B군 성격장애
- htp 사람 그림
- 성공지능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HTP
- 반응성 애착장애
- 티스토리챌린지
- 급식 및 섭식장애
- 오블완
- 불안장애
- 도박중독
- C군 성격장애
- 아동상담
- 성격심리학
- 인지행동치료
- Today
- Total
내마음의 힐링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본문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는 성격의 다양한 측면을 기술하는 문항을 피검자에게 제시하고 자신에게 해당되는지를 평정하게 하는 지필식 검사를 뜻한다.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는 크게 두 가지의 유형, 즉 다양한 성격특성을 광범위하게 평가하는 다차원적 검사와 하나의 특정한 성격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하는 단일 검사로 구분된다. 단일한 성격특성을 측정하는 성격검사는 완벽주의 척도, 충동성 척도, 강인성 척도, 공격성 척도, 특질불안 척도 등과 같이 무수하게 다양하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성격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다차원적 성격검사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1. NEO 성격검사(NEO-PI)
- NEO 성격검사(NEO - Personality Inventory : NEO - PI)는 성격의 5요인을 측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자기보고형 심리검사로서 Costa와 McCrae(1988, 1992)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McCrae와 Costa(1991)는 성격특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질문지 형식의 구조화된 검사가 최선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했으며 투사적 검사나 임상적 면담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다. Costa와 McCrae는 1978년에 질문지형 성격검사를 개발하면서 신경과민성(N), 외향성(E), 개방성(O) 세 요인의 첫 글자를 따서 NEO - I 라고 명명했으며 1985년에 우호성(A)과 성실성(C)을 추가하여 성격 5요인을 모두 측정하는 검사를 개발하면서 NEO - PI 라고 개칭하였다. 그리고 1992년에는 성격5요인을 각각 6개의 하위척도로 세밀하게 측정하는 개정판 NEO - PI - R 을 발행했다. NEO 성격검사는 몇 년마다 한 번씩 개정되고 있으며 2005년에는 일부 문항을 수정하고 새롭게 규준을 마련한 NEO - PI - 3가 발간되었다.
- NEO 성격검사는 성격의 5요인, 즉 신경과민성,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을 측정하고 있으며 각 성격요인은 6개의 하위척도로 측정되고 있다. NEO 성격검사는 개인의 성격이나 경험을 기술하는 문장을 제시하는 240개의 문항(5요인×6하위척도×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검자는 각 문항에 대해서 5점 평정척도상에서 응답하도록 되어있다. NEO 성격검사는 다양한 연령층에 실시할 수 있으며 본인용, 관찰자용, 배우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NEO 성격검사의 240개 문항을 60개의 문항으로 단축한 NEO - Five Factor Inventory(NEO - FFI)도 있다. 한국에서는 안현의와 안창규(2008)가 NEO 성격검사(성인용, 청소년용, 아동용)를 번안한 바 있다. 이 밖에도 성격의 5요인을 측정하는 심리검사는 다양하다. 성격특질을 기술하는 100개의 형용사를 제시하여 성격 5요인을 측정하는 특질기술형 용사를 비롯하여 Big Five Inventory, Ten - Item Personality Inventory 등이 있다.
- NEO 성격검사의 결과 프로파일
신경과민성 (Neuroticism) |
외향성 (Extroversion) |
개방성 (Openness to experience) |
우호성 (Agreeableness) |
성실성 (Conscientiousness) |
불안 | 따뜻함 | 공상 | 신뢰성 | 유능함 |
적대감 | 사교성 | 심미안 | 솔직성 | 질서정연함 |
우울 | 자기주장성 | 감성 | 이타성 | 의무감 |
자의식 | 활동성 | 실행력 | 순응성 | 성취추구 |
충동성 | 흥분 추구 | 아이디어 | 겸손함 | 자기절제 |
스트레스 취약성 | 긍정 정서 | 가치 | 온유함 | 신중성 |
2. 기질 및 성격검사(TCI)
- 기질 및 성격검사(Temperment and Character Inventory : TCI)는 Cloninger가 자신이 제시한 기질과 성격을 측정하기 위해서 1994년에 동료들과 함께 개발한 자기보고형 검사다. TCI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반응 성향을 측정하는 4개의 기질척도(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와 개인의 성숙도와 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3개의 성격척도(자율성, 연대감, 자기 초월)로 구성되어 있다. 기질척도와 성격척도는 각각 3~5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TCI는 기질과 성격 특성을 기술하는 1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해서 피검자가 5점 척도로 펑정하게 되어 있다. TCI는 기질척도의 점수 조합을 통해서 개인의 선천적인 반응양식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격 점수의 조합을 통해서 개인의 성숙도와 적응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 2000년에 독일에서 Poustka가 원저자와 협의하에 TCI를 청소년에 맞게 개정한 JTCI를 출간하였다. 국내에서는 2004년에 오현숙과 민병배가 한국판 JTCI를 출간하였고, 2007년에는 한국판 TCI-성인용, JTCI-아동용, JTCI유아용 등 다양한 연령대의 성격 및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들이 개발되어 현재까지 활용되고 있다.
- TCI 기질척도와 성격척도
기 질 |
자극추구 (Novelty Seeking) |
NS1 탐색적 흥분 NS2 충동성 NS3 무절제 NS4 자유분방 |
성 격 |
자율성 (Self - Directedness) |
SD1 책임성 SD2 목적의식 SD3 유능감 SD4 자기수용성 SD5 자기일치성 |
위험회피 (Harm Avoidance) |
HA1 예기불안 HA2 불확실성 공포 HA3 수줍음 HA4 쉽게 지침 |
연대감 (Cooperativeness) |
C1 타인 수용성 C2 공감성 C3 이타성 C4 관대성 C5 통합적 양심성 |
||
사회적 민감성 ( reward Dependence) |
RD1 정서적 감수성 RD2 정서적 개방성 RD3 친밀감 RD4 의존 |
자기초월 (Self - Transcendence) |
ST1 창조적 자기망각 ST2 초월적 일체감 ST3 영적 수용성 |
||
인내심 (Persistence) |
P1 근면 P2 끈기 P3 성취야망 P4 완벽주의 |
3. 성격유형검사(MBTI)
- 성격유형검사, 즉 MBTI(Myers - Briggs Type Indicator)는 Carl Jung 의 성격유형이론에 근거하여 Katharine Briggs와 그의 딸 Isabel Myersr가 개발한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다. MBTI는 4개의 성격차원(외향-내향,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에 대한 선호를 평가하기 때문에 성격유형 선호 지표라고 불린다. MBTI는 피검자가 단어나 문장으로 이루어진 2개의 선택지 중에서 자신의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166개 또는 12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MBTI는 네 가지 성격차원, 즉 외향(E)-내향(I), 감각(S)-직관(N),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에서 개인이 어느 쪽에 속하는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MBTI는 양극으로 구성된 네 차원에 의해서 16가지의 성격유형으로 구분한다.
- MBTI는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중적인 성격검사로서 개인의 성격성향을 이해하고 코칭활동이나 집단활동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MBTI가 객관적인 성격검사로서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니고 있느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관점을 취하는 심리학자들이 많다. 또한 성격유형론의 한계가 지적되고 있는 현대의 성격심리학 분야에서는 무수하게 다양한 인간의 성격을 16개 유형으로 구분하는 MBTI의 해석방식에 대해서도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MBTI는 대중성과 활용 가능성이 높은 성격검사지만 과학적 연구를 위한 평가도구로는 제한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심혜숙과 김정택(1990)이 번안한 한국판 MBTI가 사용되고 있다.
- 성격유형 선호 지표
선호 지표 | 지표의 의미 | |
외향(Extraversion) | 내향(Introversion) | 심리적 에너지의 방향 : 외부세계와 내면세계 중 어느 쪽을 선호하는가? |
감각(Sensing) | 직관(Intuition) | 인식 및 정보수집 기능 : 주어진 기본적 정보 또는 그것의 해석과 의미 중 어떤 정보를 선호하는가? |
사고(Thinking) | 감정(Feeling) | 판단 및 결정 기능 : 논리적 일관성 또는 개인의 특수한 사정 중 어떤 판단 기준을 선호하는가? |
판단(Judging) | 인식(Perceiving) | 생활양식 : 매사가 분명하게 결정된 것 또는 새로운 가능성에 열려 있는 것 중 어떤 삶의 방식을 선호하는가? |
4. 다면적 인성검사(MMPI)
- 다면적 인성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 MMPI)는 성격특성과 더불어 정신병리적 증상을 평가할 수 있는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로서 임상장면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MMPI는 1943년 Hathaway 와 McKinley에 의하여 정신병리적 증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개발되었다. 1989년에 개정판인 MMPI-2가 발표되었으며 2003년에는 재구성 임상 척도를 활용한 MMPI-2-RF가 개발되었다. MMPI-2는 9개의 타당도 척도와 10개의 임상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의 일상적 경험과 심리적 특성을 문장으로 기술한 567개의 문항에 대해서 피검자는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자기보고형 검사의 가장 큰 약점은 피검자가 의도적으로 거짓된 응답을 하거나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왜곡된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선발이나 채용과정에서 자신의 성격적 문제나 정신병리를 숨기기 위해 부정적인 내용의 문항에 "아니요"라고 응답하거나 법적 책임이나 군복무 의무를 피하기 위해 심각한 정신장애를 지닌 것처럼 위장하기 위해서 부정적인 내용의 문항에 "예" 라고 응답할 수 있다. 이처럼 솔직하지 못한 태도로 응답한 경우에는 검사결과를 해석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MMPI-2는 피검자가 어떤 태도로 검사에 응했는지를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9개의 타당도 척도를 포함시키고 있다.
- MMPI-2는 피검자의 다양한 정신병리적 또는 성격적 특성을 평가하는 10개의 임상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임상척도 외에 재구성 임상척도(의기소침, 신체증상 호소, 낮은 긍정정서, 냉소적 태도, 반사회적 행동 등), 성격병리 5요인 척도(공격성, 정신증, 통제결여, 부정 정서성, 내향성), 임상소척도(주관적 우울감, 정신운동 지체, 둔감성, 애정욕구 등), 내용척도(불안, 공포, 강박성, 낮은 자존감 등)와 같은 다양한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MMPI 검사결과는 각 척도의 T점수의 높낮이, 척도점수 간의 관계, 그리고 피검자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된다. MMPI가 임상적 진단도구로 사용될 때는 반드시 성격이론, 정신병리이론, 심리검사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을 받은 사람에 의해서 신중하게 그 결과가 해석되어야 한다.
- MMPI는 청소년에게 사용되었으나 기존의 MMPI에서 청소년에게 부적합한 문항을 삭제하거나 수정하고 문항 수를 478문항으로 축소하여, 청소년용 MMPI-A가 1992년에 출판되었다. MMPI-A에서 임상척도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청소년에 특정적인 품행문제, 소외, 의기소침, 학업문제 등에 관한 내용척도가 추가되었다. 국내에서는 1965년에 정범모 등이 한국판 MMPI를 처음으로 제작하여 발간하였으며 현재는 2005년에 새롭게 표준화된 MMPI-2와 MMPI-A가 사용되고 있다.
5. 성격강점검사(CST)
- 긍정심리학에서 강조하는 성격강점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형 검사로는 VIA강점질문지(VIS-IS)와 성격강점검사(CST)가 있다. VIA-IS(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는 Peterson과 Seligman(2004)이 24개의 성격강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보고형 검사로서 강점당 10문항씩 배정하여 모두 2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내에서 성격강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심리검사로는 성격강점검사(Character Strength Test : CST)가 있다. 권석만, 유성진, 임영진 및 김지영(2010)에 의해서 개발된 성격강점검사는 VIA 분류체계에 근거하고 있으며 6개 덕목의 24개 성격강점을 측정하고 있다. CST는 25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형 검사로서 VIA 분류체계의 24개 성격강점과 더불어 응답자의 긍정왜곡 반응성향을 반영하는 사회적 선희도를 측정하고 있다. CST는 한국인의 성격강점을 평가할 수 있도록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상에서 평정된다. CST는 성격강점을 자기보고형 질문지로 측정할 경우 검사결과에 여향을 미칠 수 있는 긍정적 반응성향을 보정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화 자료를 통해서 성격강점의 상대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규준이 마련되어 있다. CST는 표준화를 통해서 개인의 성격강점이 또래집단에 비해 어느 수준에 해당되는지를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 중·고등학생의 성격강점을 평가할 수 있는 청소년용 성격강점검사(Character Strength Test for Adolescents : 권석만, 김지영, 하승수, 2012)도 개발되었다. 이 검사는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추어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기술된 18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4개 성격강점과 더불어 주관적 행복도와 사회적 선희도를 측정하고 있다. 성격강점검사는 청소년용와 대학생 이상의 성인용 모두 신뢰도와 타당도와 입증되었으며 표준화 작업을 통한 규준이 마련되어 있다. 성격강점검사는 질문지 형식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실시할 수 있으며, 즉시 결과보고서를 받아 볼 수 있다.
◆"인간 이해를 위한 성격심리학"에서 인용함.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기본적 욕구 (1) | 2023.09.23 |
---|---|
투사적 성격검사 (0) | 2023.09.22 |
성격의 5요인 이론 (0) | 2023.09.19 |
정신장애의 범주와 유형ㅡ3 (0) | 2023.09.19 |
정신장애의 범주와 유형ㅡ2 (2) |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