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도박중독
- 성격장애
- 성격심리학
- htp 사람 그림
- 인지행동치료
- 성기능 장애
- 불안장애
- 신경발달장애
- 이상심리학
- B군 성격장애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dsm-5
- 강박 및 관련 장애
- 티스토리챌린지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HTP
- C군 성격장애
- 반응성 애착장애
- 오블완
- 마약류 중독 상담
- 급식 및 섭식장애
- 놀이치료
- 지능과 창의성
- MMPI-2
- 아동상담
- 성공지능
- 정신병리
- 상승척도 쌍
- Today
- Total
내마음의 힐링
투사적 성격검사 본문
- 성격의 무의식적이고 심층적인 특성은 개인에게 잘 의식되지 않기 때문에 자기보고에 의존하는 객관적 성격검사로는 평가하기 어렵다. 이러한 객관적 성격검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바로 투사적 성격검사다. 투사적 성격검사는 피검자에게 모호한 자극을 제시하여 그의 성격적 특성이 투사된 반응을 유도하고 검사반응을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피검자의 무의식적인 성격특성을 평가한다.
1. 로르샤흐 검사(Rorschach test)
- 가장 대표적인 투사적 성격검사는 로르샤흐 검사다. 이 검사는 1921년 Hermann Rorschach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데칼코마니 양식에 의한 대칭형의 잉크얼룩으로 이루어진 10장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카드를 순서에 따라 피검자에게 한 장씩 보여 주고 이 그림이 무엇처럼 보이는지를 말하게 한다. 모든 반응은 검사자에 의해서 자세하게 기록되며 10장의 카드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이 끝난 후에 검사자는 다시 카드마다 피검자가 카드의 어느 부분에서 어떤 특성 때문에 그런 반응을 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각 반응은 채점항목과 기준에 따라 채점된다. 채점의 주요 항목은 ①반응영역(피검자가 반응한 카드의 부분), ②결정요인(반응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준 잉크자극의 특징), ③반응내용(반응의 내용 범주), ④반응의 독창성(반응의 독특성이나 창의성), ⑤반응의 형태질(잉크자극의 특징에 대한 반응의 적절성)이며, 그밖에 반응 수, 반응 시간, 채점 항목 간의 비율 및 관계 등이 계산된다. 이러한 다양한 채점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해석하게 된다.
- 투사적 검사의 특징은 검사결과의 해석이 다양하다는 점이다. 로르샤흐 검사의 경우에도 피검자가 나타낸 반응을 채점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통계적인 자료에 근거한 객관적 해석방법과 임상가의 주관적 경험을 강조하는 임상적 해석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해석방법에 따라 결과가 다소 달라질 수 있으나 로르샤흐 검사를 통해서 개인이 지니는 사고나 공상의 주된 내용, 욕구와 충동, 정서상태와 정서조절능력, 인지적 접근양식, 무의식적 갈등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서 현실검증력, 충동통제력, 자아강도와 같은 다양한 심리적 적응능력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장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주제통각검사(Thematic Apperception Test : TAT)
- 주제통각검사는 1935년에 Murray와 Morgan에 의하여 제작된 투사적 성격검사다. TAT는 개인이 다양한 대인관계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방식으로 반응하는지를 평가함으로써 성격의 역동적 측면을 탐색한다. TAT는 피검자가 쉽게 동일시할 수 있는 인물과 상황을 묘사한 20장의 그림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자는 피검자에게 그림카드를 한 장씩 제시하면서 그림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보도록 요청한다. 그림에서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으며 카드 안에 그려진 인물들은 어떤 심리적 상태에 있는지에 관해서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보라고 요청한다. TAT의 개발자인 Murray(1943)에 따르면, 사람들은 모호한 상황을 자신의 과거 경험과 현재의 소망에 따라 해석한다. 즉, 개인은 자극을 해석할 때 자신의 경험을 종합적으로 동원하여 인식하는 통각(apperception)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피검자가 구성한 이야기 줄거리에는 피검자의 과거경험, 상상 및 공상 내용, 현재의 관심과 욕구, 심리적 갈등, 무의식적 충동 등과 같은 성격적 요소가 반영되어 나타나게 된다.
- 피검자의 이야기 내용을 여러 채점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피검자의 심리상태, 욕구 및 동기, 환경에 대한 지각과 대처 방식, 문제해결 방식, 갈등 영역 등과 같은 다양한 성격적 측면을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피검자가 보고한 이야기의 주요 인물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피검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피검자가 보고하는 이야기의 주인공, 환경 자극의 압력, 주인공의 욕구, 대상에 대한 주인공의 감정, 주인공의 내적 심리상태, 주인공의 행동 표현 방식, 그리고 최종적 결론에 주목하여 평가한다. 이러한 방법은 개인의 욕구와 환경적 압력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욕구-압력 분석법이라고 한다.
3. 그림 그리기 검사(drawing test)
- 그림 그리기 검사는 주요한 투사적 검사 중 하나다. 그림 그리기 검사를 제시한 Koppitz(1968)가 그림 그리기를 '비언어적 언어'라고 언급했듯이, 그림 그리기는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면의 심리상태를 반영해 주는 좋은 평가방법이다. 개인의 무의식적 소망이나 갈등이 꿈이나 예술 작품을 통해 표현되듯이, 그림 그리기를 통해서 개인의 성격적 특성뿐 아니라 무의식적인 심리적 내용이 표현될 수 있다.특히 아동의 경우, 그림 그리기는 자연스러운 표현수단 중 하나로서 방어적 태도를 완화하기 때문에 솔직한 내면상태를 잘 드러낼 수 있다.
- 집-나무-사람 검사(House -Tree - Person : HTP)는 가장 대표적인 그림 그리기 검사로서 Buck(1948, 1964)이 개발하고 Hammer(1969)가 발전시켰다. 이 검사는 피검자에게 백지를 주고 그 위에 집, 나무, 사람을 각각 그리도록 한 후, 그림의 특징을 분석하여 자기상, 가족관계 및 대인관계, 정서상태를 포함한 성격적 특징을 평가한다. 집 그림은 가정과 가족에 대한 내면적 표상을 반영하고, 나무는 무의식적인 자기표상을 반영하며, 사람은 좀 더 의식적인 수준의 자기표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림을 그리도록 한 후에 그림에 대한 질문을 통해서 그림의 해석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림을 그려 나가는 순서와 방식, 그림의 크기, 위치, 필압, 선의 특징, 세부적 묘사, 지우기, 대칭, 왜곡 및 생략, 투명성, 움직임 등과 같은 그림의 구조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채점하여 해석한다.
- 인물화검사(Drawing - A - Person : DAP)는 Goodenough(1926)에 의해 처음 개발된 검사로서 백지에 아무나 한 사람을 그리도록 하는 그림 그리기 검사다. 이렇게 하여 그려진 그림의 다양한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성격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림을 해석할 때 고려하는 주요한 채점지표로는 질적인 지표(부분들의 통합이 빈약함, 얼굴의 음영, 몸통이나 사지 부분의 음영, 손이나 목의 음영, 사지의 비대칭성, 기울어진 그림, 작은 그림, 큰 그림, 투명성), 생략된 신체부위(눈, 코, 입, 몸, 팔, 다리, 발, 목), 의미 있는 특징(작은 머리, 열십자로 그린 눈, 이가 드러나는 그림, 짧은 팔, 긴 팔, 팔이 몸에 붙어있음, 큰 손, 손이 잘림, 다리가 겹쳐있음, 성기, 괴물 그림, 세 명 이상의 사람을 그림) 등이 있다. 그림의 한 가지 특성이 특정한 성격특징을 반영하는 것으로 단정적이고 기계적인 해석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해석 내용을 뒷받침하는 다른 평가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신중하게 해석해야 한다.
4. 문장완성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 : SCT)
- 문장완성검사는 문장의 첫 부분을 제시하고 미완성된 뒷부분을 채워 넣도록 하는 준구조화된 투사적 검사다. SCT를 통해서 개인의 자기개념, 부모나 타인에 대한 의식, 미래나 과거에 대한 태도 등과 같은 다양한 성격적 특성과 심리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SCT 문항의 예로는 "내가 가장 원하는 것은 ~ ", "나는 어린 시절에 ~ ", "어머니와 나는 ~ " , "나의 가장 큰 고민은 ~ " 등이 있다. 검사자는 피검자가 문장을 모두 완성한 후에 의미가 있을 법한 답변에 추가적인 질문을 하여 피검자의 내적 갈등이나 태도를 좀 더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인간 이해를 위한 성격심리학"에서 인용함.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적응을 초래하는 비합리적 신념 (0) | 2023.09.30 |
---|---|
인간의 기본적 욕구 (1) | 2023.09.23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0) | 2023.09.22 |
성격의 5요인 이론 (0) | 2023.09.19 |
정신장애의 범주와 유형ㅡ3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