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마음의 힐링

순환성 장애(cyclothymic disorder) 본문

심리학

순환성 장애(cyclothymic disorder)

벨라0430 2024. 3. 11. 09:53
반응형

 

당신은 기분의 고조와 저하를 오가는 지속적인 기분의 변화가 있는가?

 

- 순환성 장애(cyclothymic  disorder)는 조증 상태와 우울증 상태가 경미한 형태, 즉 경조증경우울증이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최소한 2년 이상 장기적이며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만성적인 기분장애를 말한다. 

 

(1) 2년 동안(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1년 이상) 최소한 반 이상의 기간에 경조증이나 경우울증이 나타나야 하고,

(2) 아무런 증상이 없는 기간이 2개월 이하여야 하며, 

(3) 주요 우울 삽화, 조증 삽화, 경조증 삽화를 1번 도 경험한 적이 없어야 하고, 

(4) 주기적인 경우울증 및 경조증 때문에 생활 전반에 걸쳐 심각한 고통을 겪거나 부적응적 증상들이 초래되는 경우

순환성 장애로 진단된다.

 

- 순환성 장애는 경조증과 경우울증을 오가는 기분의 변화를 겪으며,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부적응이 초래되지만, 제 Ⅰ형 또는 제 Ⅱ형 양극성 장애를 만족시키는 수준이 아닌 경우이다. 그러나 순환성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괴팍하고 변덕스럽고 예측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

 

- 기분 상승 시기가 오면 대화는 가볍고, 농담이 많고, 즐거워하며, 즐거운 여행 계획을 세우고, 콧노래를 부른다.

그러나 기분이 하강하게 되면 혼자 있고 싶어 하고, 출근하기도 어려워하고, 깊은 한숨을 쉬며, 동네를 벗어나서 산책을 다녀올 만큼의 활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경조증이 경우울증에 갇혀버린 것이다.

 

- 순환성 장애의 발병 연령은 보통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고, 서서히 발병하며 만성적인 경과를 밟게 된다.

장애의 평생유병률은 0.4~1%이고, 기분장애 진료소에서의 유병률은 3~5%이다.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지만, 임상장면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치료를 받는 비율이 더 높다.

 

- 제 Ⅰ형 양극성 장애나 제 Ⅱ형 양극성 장애로 발전되는 비율은 15~20%이다. 순환성 장애를 지닌 사람이 직계가족도 일반 사람들에 비해 다른 기분장애를 나타낼 가능성은 훨씬 높다. 늦은 나이에 발병하는 경우 항상 신체적 질병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순환성 장애의 진단 기준 》


1. 최소한 2년 동안(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최소한 1년), 경조증 삽화의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경조증적 증상들이 있는 다수의 기간과 주요 우울 삽화의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우울증적 증상들이 있는 다수의 기간이 있어 왔음.


2. 위의 2년 동안(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최소한 1년), 경조증과 우울증의 기간이 최소한 절반 가까이 있어 왔고, 증상이 없었던 기간이 2개월 이상 지속된 적이 없었다. 


3. 주요 우울증, 조증, 또는 경조증 삽화의 기준들에 부합된 적이 없다.


4. 기준 1의 증상들이 분열정동장애, 정신분열증, 정신분열형 장애, 망상장애, 또는 기타 정신분열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5. 이러한 증상이 물질(예: 남용 약물, 투약 약물)이나 다른 의학적 질환(예: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생리적 효과들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6. 이러한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 순환성 장애는 흔치 않기 때문에 연구하기가 쉽지 않고, 치료 결정을 안내해 주는 체계적 정보도 부족한 실정이다.

순환성 장애의 원인 역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주요 우울장애 또는 양극성 장애를 지닌 환자의 직계가족에서 흔히 나타난다는 점에서 유전적 요인이 관련될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들도 순환성 장애의 원인과 재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치료는 양극성 장애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기분을 안정시키는 약물치료, 특히 리튬치료가 효과적이다.

심리치료는 환자가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고, 과도한 외적 자극들을 제거해 주고,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유지하도록 돕고, 물질사용을 회피하도록 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환자의 일상생활이 안정되고 예측가능해질 수 있도록 환경을 배열시켜 환자의 기분 동요를 막아주는 일이 필요하다. 

 

 

 

◆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에서 인용함.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지능②  (4) 2024.03.13
성공지능①  (0) 2024.03.12
제 Ⅱ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Ⅱ disorder)  (0) 2024.03.10
제 Ⅰ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Ⅰ disorder)  (0) 2024.03.09
분열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  (0) 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