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상심리학
- 도박중독
- 성격장애
- MMPI-2
- htp와 khtp 심리진단법
- B군 성격장애
- C군 성격장애
- 정신병리
- 성격심리학
- 성기능 장애
- 마약류 중독 상담
- 인지행동치료
- 오블완
- 반응성 애착장애
- 지능과 창의성
- dsm-5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상승척도 쌍
- 불안장애
- HTP
- 놀이치료
- htp 사람 그림
- 급식 및 섭식장애
- 강박 및 관련 장애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아동상담
- 티스토리챌린지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신경발달장애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Today
- Total
목록심리학 (246)
내마음의 힐링
- 성격 5요인 이론은 많은 연구자에 의해 발전한 집단지성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1981년에 Goldberg가 그때까지의 연구를 종합하면서 성격의 5요인을 'Big Five' 라는 애칭으로 지칭했다. 이러한 용어가 널리 유행하여 성격 5요인 이론은 현재까지 'Big Five Model'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성격의 5요인 구조를 주장하는 학자마다 각 요인의 명칭을 달리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연구자인 McCrae Costa를 따라서 성격의 5요인을 신경과민성,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으로 지칭한다. - 성격의 5요인 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성격은 이상에서 살펴본 5개 성격특질의 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성격은 각각의 성격특질에 있어서 양극점을 연결하는 연..
14. 성불편증(Gender Dysphoria) - 자신이 가지고 태어난 생물학적 성과 자신이 경험하고 표현하는 성역할 간의 불일치가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서 심한 불편함(또는 불쾌감)이 초래되는 경우를 말한다. 그래서 반대의 성에 대하여 강한 동일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반대의 성에 되기를 소망하게 된다. 이전에는 성 정체감 장애로 불렸던 것이다. 15. 파괴적, 충동통제 및 품행장애(Disruptive, Impulse - Control, and Conduct Disorder) - 정서와 행동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해 발생되는 다양한 부적응적 증상들을 말한다. (1)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 어른에게 불복종하고 거부적이며, 적대적이고 반항적인 행동을 ..
7. 외상 - 및 스트레스 사건 - 관련 장애(Trauma - and Stressor - Related Disorders) - 충격적인 외상적 사건이나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한 후, 그 후유증으로 심각한 부적응적 증상들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1)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 양육자에게 애착 외상을 받아, 양육자에 대해서 거의 항상 정서적으로 억제되고 위축된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2)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ment disorder) - 애착 외상을 경험한 아동이 처음 본 사람을 아무 거리낌 없이 부적절하게 과도한 친밀감을 나타내거나 낯선 사람을 아무 주저함이 없이 따라가려는 경우를 말한다. (3) 외..
1.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s) (1)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 발달 장애라고도 하며, 정신지체로 알려졌던 장애이다. 지적 장애는 지능지 비정상적으로 낮아서 추리력,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추상적 사고, 판단력, 학습능력과 같은 정신활동에 제약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그 결과 개인적, 사회적 적응 기능에 큰 어려움이 수반된다. 지능은 지능지수 70 이하의 낮은 수준을 나타낸다. (2)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 - 지능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에 필요한 말이나 언어의 사용에 결함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의사소통 장애는 ①언어장애, ②발화음 장애, ③아동기ㅡ발생 유창성 장애(말 더듬기), ④..
(2) 약물치료 - 성장애를 위한 약물치료는 주로 변태성욕장애에 초점을 둔다. 변태성욕장애에 대한 약물치료는 성욕을 감소시키는 생식샘 자극 호르몬 분비 작용제, 생식샘 자극 억제제 등을 포함한다. 비범죄성의 강박성 성행동에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리튬,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날트렉손(마취성 길향제), 부프로피온(항우울제), 발프로산(항간질) 등을 사용한다. 청소년의 물질 사용 장애에 대한 약물치료적 상황과 유사하게 강박적 성행동의 치료를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부재한 실정이다. 3. 청소년의 사이버섹스와 Sexting - 청소년의 성생활과 최신 기술의 발달 간의 결합은 최근에 떠오르고 있는 주제들 중 하나다. 인터넷은 청소년의 성생활과 관련된 영역 중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의 매개체로 ..
- 청소년기는 정서적, 도덕적, 사회적, 인지적, 심리학적 그리고 신체적 변화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발달이 각각 독립적이면서 급격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특징지어진다. 청소년기에는 개별화와 또래 동일시, 그리고 위험 감수 행동이 전형적으로 동반되며, 행동의 결과를 예측하는 인지 작용보다 위험을 발생시킬 행동이 앞서 나타난다. 이러한 위험 행동은 성적 실험이나 물질 사용 또는 무모한 운전 등의 문제 행동들을 포함한다. - 문제성 성행동은 청소년을 치료하는 상담가라면 누구나 중요하게 여기는 문제다. 상담가는 먼저 정상 범주에서 벗어난 강박적 성행동을 확인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성행동은 복잡하기 때문에 십 대의 과잉성욕장애나 성중독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다른 고위험 행동들보다 더 취약하므로, 청소년의..
1. 성중독의 결과 (1) 신체적 영향 - 에이즈나 다른 종류의 성병에 감염됨 - 계획하지 않은 임신이나 낙태의 합병증 - 강간 혹은 신체적 학대 - 성기, 가슴 등에 상처를 입음 - 성적인 생각이나 활동들에 정신이 팔려 교통사고가 날 수 있음 - 성적 활동을 원활하게 해 주거나 성적 능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약물에 중독됨 (2) 심리적, 감정적 영향 - 수치심, 죄책감(특히 대중에게 폭로되었을 때) - 우울증 - 걱정 - 발견될 것에 대한 두려움 - 이혼이나 결혼 생활의 갈등 - 물질의존과 다른 중독에 대해 절제를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 (3) 재정적, 법적, 직업적 영향 - 저조한 업무 수행이나 직장에서 알려짐으로 인해 직장을 잃음 - 불법적 성행동으로 인한 구속 - 법적 대응이나 심리치료, 실직 ..
- 도박중독은 완치될 수 있는가? 지금까지의 치료 및 재발방지 프로그램은 완벽한가? 이에 대한 대답은 한마디로 말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언제든지 재발 가능하며 완치라고 말하기 힘든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병적 도박은 심리적, 사회적, 생물학적 원인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발생의 원인 및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치료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 심리상담치료 : 도박과 관련하여 개인의 성격적 측면, 대인관계의 어려움, 스트레스, 우울증, 적응장애,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고통받는 이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살아가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가족치료 및 가족상담 : 도박으로 인해 가족 또한 의심병과 노이로제, 우울증, 경제적 어려움 등의 고통을 겪고 있다. 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