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강박 및 관련 장애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급식 및 섭식장애
- 놀이치료
- htp와 khtp 심리진단법
- 성격심리학
- 불안장애
- 티스토리챌린지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성기능 장애
- 성격장애
- dsm-5
- htp 사람 그림
- 상승척도 쌍
- 반응성 애착장애
- 도박중독
- 오블완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C군 성격장애
- 마약류 중독 상담
- 인지행동치료
- 정신병리
- 지능과 창의성
- 아동상담
- B군 성격장애
- 신경발달장애
- MMPI-2
- HTP
- 이상심리학
- Today
- Total
목록이상심리학 (63)
내마음의 힐링
- 건강한 정신은 건강한 신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의 몸에 맞는 음식을 적절하게 섭취해야만 한다. 지나치게 많은 음식을 먹게 되면 몸은 비대해지고, 또 지나치게 먹지를 않으면 우리의 몸은 활력을 잃게 되고 몸은 마르게 된다.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은 우리의 체형과 몸매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규칙적으로 올바르고 적절하게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건강한 몸과 마음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조건이 된다. 건강하게 음식을 먹어야 기분도 좋아지고, 몸도 활력을 얻어 더 좋은 정신이 발휘될 수 있다. - 급식 및 섭식장애(Feeding and Disorders)는 음식섭취와 관련되어 심각한 문제가 초래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먹는 행동과 관련하여 부적응적 증상들이 나타나서 개인의 신체적 건강과..
1. 핵심 질문 (이인증) 당신은 자신의 움직임 하나하나를 지켜보고 있는 것같이, 이상한 느낌을 경험한 적이 있는가? (비현실감) 당신은 깨어 있는데도, 마치 꿈이나 안갯속에 있는 것처럼 일상이 실제처럼 느껴지지 않을 때가 있는가? 2. 이인증/비현실감 장애란 - 이인증/비현실감 장애는 자아 감각에 어떤 변화가 초래되어 평소와는 달리 자신의 경험이 매우 낯설게 느껴지거나 주변 환경이 예전과 달라졌다고 느껴지는 비현실감을 지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경우를 말한다. 즉 (1) 이인증, 비현실감, 또는 이 둘 모두를 지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2) 이로 인해 생활 전반에 걸쳐 심각한 고통을 겪거나 부적응적 증상들이 초래되는 경우 이인증/비현실감 장애로 진단된다. 이인증은 주로 비현실감과 ..
1. 핵심질문 당신은 인생에서 어떤 특정한 사건이 전혀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는가? 2. 해리성 기억상실증이란 - 해리성 기억상실증(dissociative amnesia)은 자신의 중요한 과거경험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즉 (1) 외상이나 스트레스성으로 자신의 중요한 개인적 정보를 회상하지 못하고(건망증이나 일시적인 망각 때문이 아님), (2) 이로 인해 생활 전반에 걸쳐 심각한 고통을 겪거나 부적응적 증상들이 초래되는 경우 해리성 기억상실증을 진단된다. 해리성 기억상실증은 이전에는 심인성 기억상실증(psychogenic amnesia)으로 불렸던 것이다. 해리성 기억상실증을 지닌 사람은 자신의 개인적 기억들, 특히 고통스럽고 스트레스를 받을 만한 기억들에 대하여 '텅 빈 부분'들이 있다. 기..
1. 핵심질문 당신은 남들로부터 전혀 다른 사람 같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가? 2. 해리성 정체감 장애란 -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는 한 사람 안에 둘 이상의 각기 다른 정체감을 가진 성격이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즉 (1) 한 사람 내면에 2개 이상의 성격이 번갈아가면서 나타나기 때문에 정체감의 분열을 보이고, (2) 한 성격이 출현해서 경험한 것(예: 일상적인 사건, 중요한 개인 정보, 외상적 사건들)을 다른 성격은 무슨 경험을 했는지를 회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억에 있어서 빈번한 공백이 초래되며(일시적인 망각으로는 볼 수 없음), (3) 이로 인해 생활 전반에 걸쳐 심각한 고통을 겪거나 부적응적 증상들이 초래되는 경우 해리성 정체감..
7. 외상 - 및 스트레스 사건 - 관련 장애(Trauma - and Stressor - Related Disorders) - 충격적인 외상적 사건이나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한 후, 그 후유증으로 심각한 부적응적 증상들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1)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 양육자에게 애착 외상을 받아, 양육자에 대해서 거의 항상 정서적으로 억제되고 위축된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2)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ment disorder) - 애착 외상을 경험한 아동이 처음 본 사람을 아무 거리낌 없이 부적절하게 과도한 친밀감을 나타내거나 낯선 사람을 아무 주저함이 없이 따라가려는 경우를 말한다. (3) 외..
1.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s) (1)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 발달 장애라고도 하며, 정신지체로 알려졌던 장애이다. 지적 장애는 지능지 비정상적으로 낮아서 추리력,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추상적 사고, 판단력, 학습능력과 같은 정신활동에 제약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그 결과 개인적, 사회적 적응 기능에 큰 어려움이 수반된다. 지능은 지능지수 70 이하의 낮은 수준을 나타낸다. (2)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 - 지능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에 필요한 말이나 언어의 사용에 결함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의사소통 장애는 ①언어장애, ②발화음 장애, ③아동기ㅡ발생 유창성 장애(말 더듬기), ④..
당신의 아이가 대인관계 접촉을 피하고, 사회적 신호를 알아채지 못하고, 이상한 행동을 반복하거나, 아니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가? 1.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주요 진단특징 (1) 사회적 • 정서적 상호작용의 결함 - 유아기부터 부모를 알아보거나 눈 맞춤이 없음 - 사회적 미소가 없음 - 사람이나 사회적 상호작용 대신 사물에 높은 집착을 보임 - 타인을 시각, 공간적으로는 지각하나 마음을 읽지 못함 - 다른 사람의 행복감에 대해 기뻐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짐 -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결여됨 (2) 의사소통의 장애 - 구어의 발달지연(옹알이가 없거나 적음), 옹알이나 말할 때 음색, 음률, 리듬이 비정상적임 - 이상한 단어나 구절을 사용하거나 반향언어나 대명사 사용에 혼란이 있음 - 몸짓이나 동작과 같은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