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성격심리학
- 불안장애
- C군 성격장애
- 마약류 중독 상담
- 신경발달장애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성격장애
- 오블완
- 정신병리
- MMPI-2
- 이상심리학
- 상승척도 쌍
- htp 사람 그림
- 성기능 장애
- dsm-5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놀이치료
- HTP
- 티스토리챌린지
- 급식 및 섭식장애
- 반응성 애착장애
- 아동상담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지능과 창의성
- B군 성격장애
- 인지행동치료
- 도박중독
- 강박 및 관련 장애
- htp와 khtp 심리진단법
- Today
- Total
목록심리학 (246)
내마음의 힐링
1. 성공지능의 개념 - 성공지능(successful intelligence) 이론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학습능력과 관련된 전통적 지능 개념이 비활성 지능(inert intelligence)이라고 비판하면서 그동안 IQ에서 제외되었던 창의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을 지능에 포함 확대하여 완성한 이론이다. 성공지능이론에서는 개인의 삶의 기준,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성공을 얻어낼 수 있는 능력을 다룬다. - 성공지능은 Sternberg(1996)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그의 삼원지능이론을 발전시킨 것이다. 그는 전통적인 일반지능의 개념을 인간 삶의 전 영역에서 성공에 필요한 지능으로 지능의 개념을 확장시켰다. 성공지능은 자신이 정의한 성공기준에 따라 자신의 사회문화적 상황 속에서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고 약점을 수..
당신은 기분의 고조와 저하를 오가는 지속적인 기분의 변화가 있는가? - 순환성 장애(cyclothymic disorder)는 조증 상태와 우울증 상태가 경미한 형태, 즉 경조증과 경우울증이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최소한 2년 이상 장기적이며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만성적인 기분장애를 말한다. (1) 2년 동안(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1년 이상) 최소한 반 이상의 기간에 경조증이나 경우울증이 나타나야 하고, (2) 아무런 증상이 없는 기간이 2개월 이하여야 하며, (3) 주요 우울 삽화, 조증 삽화, 경조증 삽화를 1번 도 경험한 적이 없어야 하고, (4) 주기적인 경우울증 및 경조증 때문에 생활 전반에 걸쳐 심각한 고통을 겪거나 부적응적 증상들이 초래되는 경우 순환성 장애로 진단된다. - 순환성 장애는 경조증과..
당신은 때로는 상승하고 때로는 하강하는 기분의 변화를 겪는가? - 제 Ⅱ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Ⅱ disorder)는 제 Ⅰ형 양극성 장애와 유사하지만, 1주일 이상 지속되는 조증이 아니라 최소한 4일간 지속되는 경조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경조증(hypomanic)은 조증보다 증상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상태를 의미한다. 경조증을 나타낸 사람들 역시 대부분의 경우 주요 우울 삽화를 경험한다. 따라서 경조증과 우울증이 교대로 나타날 때 제 Ⅱ형 양극성 장애로 진단된다. 예컨대, 과거에 1번 이상의 경조증 삽화와 1번 이상의 주요 우울 삽화를 나타낸 적이 있다면, 제 Ⅱ형 양극성 장애로 진단된다. 아울러 조증 삽화는 1번도 경험한 적이 없어야 한다. - 제 Ⅱ형 양극성 장애는 (1) 적어도 1번의..
당신은 때로는 상승하고 다른 때는 하강하는 심한 기분 변화를 겪는가? - 제 Ⅰ형 양극성 장애(bipolar Ⅰ disorder)는 가장 심한 형태의 양극성 장애로서, (1)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고양되는 1번 이상의 조증 삽화가 최소한 1주일 이상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또는 (2) 조증 삽화를 겪는 거의 모든 사람들은 대부분의 경우 1번 이상의 주요 우울 삽화를 겪는 수가 많기 때문에 조증과 우울증이 교대로 나타나는 경우에도 제 Ⅰ형 양극성 장애로 진단된다. 증상의 심각도는 경도, 중등도, 중증도로 구분된다. - 제 Ⅰ형 양극성 장애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조증 삽화의 진단기준이 충족되어야 한다. 조증 삽화(manic episode)의 진단기준은 (1) 비정상적으로 고양된, 팽창된, 또는 흥분된 기분과..
목소리를 듣거나, 사람들이 당신을 해칠 것 같거나, 현실감을 잃은 적이 있는가? 기분에 변화가 있는가? - 분열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는 어느 하나 독립적으로 진단될 수 없을 정도로 정신분열증과 함께 동시에 주요 기분 삽화(주요 우울 또는 조증)가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1) 정신분열증의 진단 기준 1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2) 일정 기간 동안 주요 우울 삽화 또는 조증 삽화가 함께 나타나고, (3) 아울러 주요 우울 삽화 또는 조증 삽화가 없을 때에도 망상이나 환각이 최소한 2주 이상 나타나는 경우 분열정동장애로 진단된다. - 분열정동장애는 동반하는 기분 삽화에 따라 우울형과 양극형으로 세분된다. 우울형은 단지 주요 우울 삽화만이 동반되는..
목소리를 듣거나, 사람들이 당신을 해칠 것 같거나, 현실감을 잃은 적이 있는가? 1.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 정신분열증은 (1) , , , , 의 5가지 중 2개 이상의 증상(반드시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중 1개는 포함되어야 함)이 1개월 동안 상당 기간 나타나고, (2) 장애가 계속 지속되고 있다는 징후가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되며, (3) 이러한 증상이 시작된 이후 1가지 이상의 주요 영역(예: 직업, 대인관계, 자기 돌봄)에서의 기능 수준이 발병 시작 이전보다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을 경우 정신분열증으로 진단된다. 정신분열증은 그 명칭이 주는 부정적 인상과 편견을 피하기 위해 조현병이라고도 지칭한다. 조현은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라는 뜻으로, 치료가 가능한 정신기능의 부조화..
목소리를 듣거나, 사람들이 당신을 해칠 것 같거나, 현실감을 잃은 적이 있는가? 1. 정신분열형 장애 - 정신분열형 장애(schizophreniform disorder)는 정신분열증과 동일한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지만, 장애의 지속기간이 1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즉 정신분열증적 증상이 1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이면 정신분열형 장애로 진단되고, 6개월이 넘어서면 정신분열증으로 진단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장애의 지속기간으로 보면, 단기 정신증적 장애(증상이 1일 이상 1개월 미만)와 정신분열증(증상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의 중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대략 처음에 정신분열형 장애로 진단받은 사람의 1/3은 6개월 이내에 회복되어 정신분열형 장애로 최종 진단을 받게 되고, 나머지 2/3..
최근에 격렬한 감정이나 격심한 혼란 등 이상한 경험을 한 적이 있는가? - 단기 정신증적 장애(brief psychotic disorder)는 정신분열증이나 정신분열형 장애와 임상적 증상은 유사하지만, (1) , , , 의 4가지 양성 증상들 중 1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나고, (2) 증상기간이 1일 이상 1개월 이내로 짧게 나타나고, (3) 궁극적으로는 발병 전의 기능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되는 경우 단기 정신증적 장애로 진단된다. - 단기 정신증적 장애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전형적으로 격렬한 감정적인 동요나 격심한 혼란을 경험하고, 강렬한 어떤 감정 상태에서 다른 감정 상태로 빠르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증상기간은 비록 1일 이상 1개월 이내지만, 이 기간 동안에 개인의 적응기능이 심하게 손상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