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tp와 khtp 심리진단법
- 티스토리챌린지
- htp 사람 그림
- 정신병리
- 인지행동치료
- 성격장애
- HTP
- 상승척도 쌍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신경발달장애
- C군 성격장애
- 성기능 장애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급식 및 섭식장애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도박중독
- 지능과 창의성
- 이상심리학
- dsm-5
- 강박 및 관련 장애
- B군 성격장애
- 불안장애
- 오블완
- 성격심리학
- 반응성 애착장애
- 아동상담
- MMPI-2
- 놀이치료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마약류 중독 상담
- Today
- Total
목록심리학 (246)
내마음의 힐링
- 성격의 핵심적 측면 중 하나는 정서를 경험하고 표현하는 방식이다. 사소한 일에도 까칠하게 화를 잘 내는 사람이 있는 반면, 충분히 화날 만한 일에도 감정표현을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 늘 걱정이 많고 불안 수준이 높은 사람이 있는 반면, 위험한 상황에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 침착하게 행동하는 사람이 있다. 평소에 특별한 일이 없어도 명랑한 사람이 있는 반면, 항상 침울한 사람이 있다. 이처럼 사람마다 자주 경험하는 정서의 유형과 그러한 정서를 행동으로 표현하는 방식이 각기 다르다. 1. 정서란 무엇인가 - 정서(emotion)는 외부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경험하게 되는 느낌을 말한다. 정서는 주로 외부적 자극에 의해 유발되지만 때로는 내부적 자극(예: 기억, 상상, 생각 등)에 의해서 유발되는 경우..
- 성격평가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과 도구는 매우 다양하다. 평가하고자 하는 성격의 측면에 따라서 적절한 평가방법과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의 성격평가는 크게 면접, 행동관찰, 개인생활사 자료, 타인의 보고, 심리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1. 면접(interview) - 개인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사람을 직접 만나서 대화를 나누어 보는 것이다. 대화를 통해 질문과 응답을 주고받으면서 개인의 성격에 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화나 의사소통을 통해 개인의 심리적 특징을 알아보는 방법이 면접이다. 평가자는 면접을 통해서 개인이 자신의 성격이나 특성에 대해서 지니고 있는 주관적인 생각을 탐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격특성을 반영하는 다양..
1. 성격평가란 무엇인가 - 개인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결혼할 배우자를 선택하거나 신입사원을 선발하는 경우, 성격은 중요한 선택기준이 된다. 또한 인간의 성격을 연구하거나 정신장애를 치료하는 심리학자에게는 개인의 성격을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평가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개인의 성격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개인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성격특성을 어떻게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까? 개인의 성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비법은 없다. 관상술에서 주장하듯이 얼굴만 보고 사람의 성격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독심술처럼 개인의 성격을 들여다볼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심리학자들은 실증적 연구와 효과적인 실무활동을 위해서 개인의 성격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다양..
- 한국인은 다른 국가 사람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성격특성을 지니고 있을까? 각 국가의 국민들이 나타내는 독특한 성격특징에 대해서 다양한 이야기들이 회자되고 있다. 서로 인접한 동북아시아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의 국민들은 각기 다른 성격특성을 지닌 것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인은 '빨리빨리'라는 말로 대표되듯이 성격이 급하고 열정적이며, 중국은 '만만디'로 묘사되듯이 여유롭고 신중한 반면, 일본인은 '조심조심'으로 대변되듯이 인사성이 바르고 조심성이 많은 것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언급은 학술적인 연구결과에 의한 것이 아니라 주변 국가의 사람들과 접촉하면서 느낀 개인적 경험들을 반영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기 때문에 회자되는 이야기지만, 특정한 국가의 국민들이 지닌 성격 특성..
(4) 자기 개념과 성격의 관계 - 자기 개념은 성격의 핵심적인 인지적 구조다. 자기 개념은 자기 개념은 개인의 행동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이기도 하다. 우선, 자기 개념은 자기 존중감을 결정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는 자기 존중감의 높낮이를 결정한다. 긍정적인 자기 개념은 높은 자기 존중감뿐만 아니라 자신감과 자부심의 원천이 되는 반면, 부정적인 자기 개념은 자기 존중감과 자신감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우울감과 열등감의 근원이 된다. - 자기 개념은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차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역시 복잡하다. 자기 존중감은 자신의 현실적 평가를 반영하는 현실적 자기뿐만 아니라 자신이 바라는 이상적 자기와 부모에 의해서 기대되는..
- 인간은 호모 사피엔스, 즉 생각하는 존재다. 그런데 사람마다 생각하는 방법이 다르다. 자신과 세상에 대한 신념이 다를 뿐만 아니라 특정한 상황을 해석하는 방식도 다르다. 우유가 반쯤 담긴 컵을 바라보면서 비관주의자는 '우유가 겨우 반밖에 남아 있지 않다'라고 생각하며 조바심을 내는 반면, 낙관주의자는 '우유가 아직도 반이나 남아 있다'라고 생각하며 흡족함을 느낀다. 낯선 사람을 만나면 '나를 무시하며 공격적 행동을 나타낼 수 있는 위험한 존재'라고 생각하며 경계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새로운 정보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흥미로운 존재'라고 생각하며 접근하는 사람도 있다. 이처럼 동일한 상황에 대한 생각이 다른 이유는 사람마다 특정한 상황을 바라보는 인식의 틀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특정한 상황을..
1. 창의적 성격의 개념 - 창의적 성격이란 창의성을 발현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향이나 성격적인 특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창의적 성격이 중요한 이유는 창의성이 발현되는 데 있어 창의적 사고만큼이나 중요하기 때문이다. Amabile(1989)는 창의성의 요소모델에서 창의성과 관련된 기술로 창의적인 사고와 행동기술을 언급하였다. 사람들이 창의적인 방법으로 과제를 수행할 때는 특별한 행동양식, 사고양식, 그리고 성격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면서 이러한 특성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을 뛰어넘는 창의적인 수행에 기여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Sternberg와 Lubart(1996)의 창의성 투자이론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인성적 특성으로의 성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속성..
3.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역사적 창의성과 개인적 창의성 - Boden(1994)은 창의성을 개인적이며 심리적인 창의성과 역사적인 창의성으로 나누었다. 개인의 마음속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가치 있는 아이디어가 생겨난다면 그것은 개인적 창의성일 것이다. 그러나 개인적 창의성과 대조적으로 어떤 가치 있는 아이디어가 개인에게 창의적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역사상 다른 누구도 가져본 적이 없는 아이디어라면 그것은 역사적 창의성인 것이다. Boden(1994)은 "역사적 창의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방법은 없다. 어떠한 이론도 어떤 아이디어가 역사적으로 가장 창의적이라고 설명하기에는 어렵다. 또한 이러한 역사적 범주의 것을 심리학적으로 설명할 방법도 없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는 동시에 개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