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지행동치료
- C군 성격장애
- 상승척도 쌍
- 도박중독
- 성격심리학
- B군 성격장애
- 성기능 장애
- dsm-5
- 신경발달장애
- 정신병리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오블완
- 반응성 애착장애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MMPI-2
- 티스토리챌린지
- 불안장애
- 마약류 중독 상담
- 급식 및 섭식장애
- htp 사람 그림
- 강박 및 관련 장애
- 이상심리학
- 놀이치료
- 지능과 창의성
- HTP
- 성격장애
- 아동상담
- 성공지능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Today
- Total
목록심리학 (243)
내마음의 힐링
- 한국인은 다른 국가 사람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성격특성을 지니고 있을까? 각 국가의 국민들이 나타내는 독특한 성격특징에 대해서 다양한 이야기들이 회자되고 있다. 서로 인접한 동북아시아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의 국민들은 각기 다른 성격특성을 지닌 것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인은 '빨리빨리'라는 말로 대표되듯이 성격이 급하고 열정적이며, 중국은 '만만디'로 묘사되듯이 여유롭고 신중한 반면, 일본인은 '조심조심'으로 대변되듯이 인사성이 바르고 조심성이 많은 것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언급은 학술적인 연구결과에 의한 것이 아니라 주변 국가의 사람들과 접촉하면서 느낀 개인적 경험들을 반영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기 때문에 회자되는 이야기지만, 특정한 국가의 국민들이 지닌 성격 특성..
(4) 자기 개념과 성격의 관계 - 자기 개념은 성격의 핵심적인 인지적 구조다. 자기 개념은 자기 개념은 개인의 행동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이기도 하다. 우선, 자기 개념은 자기 존중감을 결정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는 자기 존중감의 높낮이를 결정한다. 긍정적인 자기 개념은 높은 자기 존중감뿐만 아니라 자신감과 자부심의 원천이 되는 반면, 부정적인 자기 개념은 자기 존중감과 자신감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우울감과 열등감의 근원이 된다. - 자기 개념은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차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역시 복잡하다. 자기 존중감은 자신의 현실적 평가를 반영하는 현실적 자기뿐만 아니라 자신이 바라는 이상적 자기와 부모에 의해서 기대되는..
- 인간은 호모 사피엔스, 즉 생각하는 존재다. 그런데 사람마다 생각하는 방법이 다르다. 자신과 세상에 대한 신념이 다를 뿐만 아니라 특정한 상황을 해석하는 방식도 다르다. 우유가 반쯤 담긴 컵을 바라보면서 비관주의자는 '우유가 겨우 반밖에 남아 있지 않다'라고 생각하며 조바심을 내는 반면, 낙관주의자는 '우유가 아직도 반이나 남아 있다'라고 생각하며 흡족함을 느낀다. 낯선 사람을 만나면 '나를 무시하며 공격적 행동을 나타낼 수 있는 위험한 존재'라고 생각하며 경계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새로운 정보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흥미로운 존재'라고 생각하며 접근하는 사람도 있다. 이처럼 동일한 상황에 대한 생각이 다른 이유는 사람마다 특정한 상황을 바라보는 인식의 틀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특정한 상황을..
1. 창의적 성격의 개념 - 창의적 성격이란 창의성을 발현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향이나 성격적인 특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창의적 성격이 중요한 이유는 창의성이 발현되는 데 있어 창의적 사고만큼이나 중요하기 때문이다. Amabile(1989)는 창의성의 요소모델에서 창의성과 관련된 기술로 창의적인 사고와 행동기술을 언급하였다. 사람들이 창의적인 방법으로 과제를 수행할 때는 특별한 행동양식, 사고양식, 그리고 성격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면서 이러한 특성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을 뛰어넘는 창의적인 수행에 기여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Sternberg와 Lubart(1996)의 창의성 투자이론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인성적 특성으로의 성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속성..
3.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역사적 창의성과 개인적 창의성 - Boden(1994)은 창의성을 개인적이며 심리적인 창의성과 역사적인 창의성으로 나누었다. 개인의 마음속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가치 있는 아이디어가 생겨난다면 그것은 개인적 창의성일 것이다. 그러나 개인적 창의성과 대조적으로 어떤 가치 있는 아이디어가 개인에게 창의적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역사상 다른 누구도 가져본 적이 없는 아이디어라면 그것은 역사적 창의성인 것이다. Boden(1994)은 "역사적 창의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방법은 없다. 어떠한 이론도 어떤 아이디어가 역사적으로 가장 창의적이라고 설명하기에는 어렵다. 또한 이러한 역사적 범주의 것을 심리학적으로 설명할 방법도 없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는 동시에 개인적..
1. 창의성 연구의 역사 - 창의성이 인간의 주요한 지적 특성으로 여겨져 왔지만, 학문적 관점에서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1950년 미국심리학회 회장 취임 연설에서 Guilford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미미함을 강조하였다. Guilford의 연설 이후 창의성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고 심리학과 교육학 분야에서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산업계에서도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창의성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러나 1950년 이래호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많아질수록 더 많은 개념이 난무하게 되었고 창의성이라는 용어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었다. 최근 창의성이란 용어를 그 어느 때보다..
1. 창의성 측정의 역사 - 창의성의 연구는 19세기 중반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Lombroso나 Galton과 같은 학자들은 기존 방식을 거부하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창의성을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Galton의 제자인 Terman에 의해 창의성 측정 연구가 본격화 되었다. Terman의 연구 전에는 창의성에 대한 개념도 부족하였고, 창의성이 측정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였다. Terman은 Galton의 영향을 받아 심리학의 체계적인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창의성을 정의하고 측정하려고 노력하였다. 1910년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과 교수가 되고 1922년 학과장이 되면서 창의성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하지만 창의성 연구가 주된 관심사가 아니었고, 지능과 천재성을 관련지어 연구하였으며 창..
1. 정서지능의 개념 - 1980년대 후반에 심리학자, 진화생물학자, 정신의학자, 그리고 컴퓨터 과학자들은 인간이 지닌 역량 중 상당 부분이 정서를 판별하고 이해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정서와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하게 시작되었고 1990년도에 Salovey와 Mayer에 의해 정서지능이 개념화되었다. 정서지능은 정서를 감지하고, 통제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는 정서에 대한 지각, 동화, 표현, 조절 그리고 관리와 연관이 있다. Salovey와 Mayer의 정서 지능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① 정서를 정확하게 지각하고 평가하며 표현하는 능력 ② 정서에 접근하고 사고를 촉진시키는 능력 ③ 정서와 정서적 지식을 이해하는 능력 ④ 정서적 그리고 지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