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반응성 애착장애
- 놀이치료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오블완
- 마약류 중독 상담
- 성기능 장애
- 지능과 창의성
- 티스토리챌린지
- MMPI-2
- 강박 및 관련 장애
- dsm-5
- 급식 및 섭식장애
- 아동상담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불안장애
- HTP
- B군 성격장애
- 신경발달장애
- 이상심리학
- 정신병리
- C군 성격장애
- 인지행동치료
- 도박중독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성격심리학
- 성격장애
- 상승척도 쌍
- htp 사람 그림
- 성공지능
- Today
- Total
목록심리학 (243)
내마음의 힐링
- 아동은 신체적 발달뿐만 아니라 지적 기능, 정서, 성격구조와 같은 모든 심리적인 측면이 발달하고 성숙해 가는 '과정' 중에 있는 존재이다. 때문에 아동이 그리는 그림에도 이러한 발달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함께 고려하지 않으면 아동이 그림을 통해 드러내는 특성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아동 그림검사의 해석에서는 성인의 그림검사와는 달리 이러한 발달적 측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 아동은 표상능력이 발달해 가는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자신이 보는 것을 있는 그대로 그리지 못하고 내면화되어 있는 그 대상의 형상에 따라서 그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매우 단수하고 도식화된 형태로 그림을 그리게 된다. - 루케(Luquet)는 보이는 그대로 사실적으로 그리는 것을 '시각적 현실주의..
1. HTP의 실시방법 (1) 집 그림 - A4 용지 정도 크기에 백지와 연필, 지우개를 아동에게 제시한 후, 집을 그려보도록 지시한다. 이때 종이는 가로 방향으로 제시되어야 하는데, 아동이 종이를 수직으로 돌려서 그림을 그리는 경우 의미 있는 반응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시간 제한은 없으며, 검사자는 아동이 그림을 다 그리는 데 걸린 시간을 기록한다. 아동이 다 그리고 난 뒤에는 사후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아동의 대답을 그대로 기록한다. 사후질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된다. ⊙ 누구의 집인가?⊙ 누가 살고 있는가?⊙ 이 집의 분위기가 어떠한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나중에 집이 어떻게 될 것 같은가? (2) 나무 그림 - A4 용지 정도 크기의 백지와 연필, 지우개를 아동에게 제시..
1. 정신분석적 관점- 투사적 그림검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핵심 가정은 사람이 그린 그림은 내면의 핵심적인 정신역동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정신분석적인 것이다. 이는 프로이트가 인간의 행동이 무의식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 정신결정론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투사적 그림검사를 정신분석적 관점에 기반하여 해석한 대표적인 학자로는 마코버(1949)와 레비(1958), 해머(1958)를 들 수 있다. 마코버는 사람 그림은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대한 표상이며, 종이는 환경에 해당되고 사람 그림은 그 사람 자신에 해당된다고 가정하였다. 마코버에 따르면, 개인은 성장과정에서 신체 부위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감각이나 지각, 감정을 경험하고, 그 결과로 신체상이 발달하며, 그림에는 이러한 신..
1. 사람 그림검사 및 관련 검사 (1) 사람 그림검사 (Draw-a-Person test, DAP)- 마코버(1949) 등이 개발한 검사로, 사람을 그려보도록 하고 사후질문 과정을 실시함으로써 자기상, 신체상, 이상적 자기, 성 정체감 등 성격 구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집 - 나무 - 사람 그림검사 (House - Tree - Person test, HTP)- 벅(1948, 1964)이 개발하고 벅과 해머(1969)가 발전시킨 것으로 집, 나무, 사람을 그려보도록 하는 검사이다. 따라서 이 안에 사람 그림검사가 포함되며, 사람 그림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외에 부가적으로 성격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나무 그림은 무의식적인 수준의 성격 구조를 드러내주는 것..
- Nicholls와 Miller(1983, 1985)는 과제 난이도와 능력 간의 관계와 운과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한 아동의 이해 역시 나이에 따라 변화함을 보여 주었다. 능력과 과제 난이도를 구별하여 생각하는 것은 자기중심적인 수준에서 객관적인 규준을 따르는 발달적 순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략 3~5세 정도의 자기중심적 수준에 있는 아동은 과제 난이도를 자신들의 능력에 비례하는 것으로 본다. 만약 그들이 과제를 할 수 있으면 그 과제는 '쉬운' 것이고 그 과제를 할 수 없으면 그 과제는 '어려운' 것이다. 게다가 과제가 쉬우면 그들은 그 과제를 잘하거나 똑똑하다고 생각하며, 과제가 어려우면 자신이 과제를 잘하지 못하거나 똑똑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자기중심적인 관점에 따라 아동은 다른 아동이 ..
- 귀인이론에서 있어서 발달과 집단에 따른 차이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일반적인 질문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첫째, 아동과 성인, 여성과 남성, 혹은 소수집단과 비소수집단 학생들이 귀인적인 추론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정보처리 단서나 정보처리전략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둘째, 귀인의 차원이 갖는 '의미'와 귀인 내용, 그리고 이들과 성공에 대한 기대 간의 연관성과 관련하여 발달 또는 집단 차이가 존재하는가? 1. 발달 차이- 발달적인 관점에서 진행된 연구들에서는 연령에 따라 귀인이론의 적용이 달라진다는 점을 제안했다. 아동과 성인이 귀인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정적 단서, 내용 지식, 그리고 추론 도식의 방식에서 발달 차이가 존재한다. 다양한 차원으로 분석한 귀인들에 대한 심리학적 의미에도 발달 차이가 있는..
▣ 자아 (ego) : 현실을 실용주의적으로 다루는 성격의 합리적인 부분▣ 자아 강도 (ego strength) : 원초아, 초자아, 그리고 현실의 경쟁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잘 기능하는 자아의 능력▣ 자아 이상 (ego ideal) : 좋은 행동을 보상하고 완벽을 표상하는 초자아의 한 부분▣ 자유연상 (free association) : 마음에 떠오르는 것은 무엇이든지 주저 없이 말하는 치료절차▣ 잠복기 (latency period) : 남근기의 위기에 따라 나오는 잠시 조용한 시기▣ 잠재몽 (latent content) : 상징적인 꿈 심상의 기초가 되는 근원▣ 저항 (resistance) : 치료 중에 위협적 재료가 의식되는 것을 피하려는 시도▣ 전위 (displacement) : 원래 ..
- 지금까지 우리는 사람들이 성장을 향해 나아가는 자연스러운 경향성을 지니고 있고, 자기 삶의 진로를 조정하는 자유의지를 발휘할 수 있으며, 불일치의 지각을 방어하고, 성장 동기가 동기 위계의 최정상에 위치한다는 낙관적 아이디어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성장과 인간 잠재력에는 또 다른 측면이 있다. 자기실현의 가능성에는 비용이 있다. 즉, 그에는 책임이 뒤따른다. 이것이 실존주의 심리학(existential psychology)의 주요 원칙이다.실존주의(existential)라는 용어는 존재(existence)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 그것은 존재는 누구나 지니고 있는 모든 것임을 주장하는 철학적 관점과 관련된다. 각 사람은 측량할 수 없는 우주에서 누구나 혼자다. 이러한 관점은 개개인이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