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성격장애
-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B군 성격장애
- 성기능 장애
- 급식 및 섭식장애
- 정신병리
- 지능과 창의성
- htp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강박 및 관련 장애
- 반응성 애착장애
- 놀이치료
- MMPI-2
- C군 성격장애
- 이상심리학
- 신경발달장애
- htp 사람 그림
- htp와 khtp 심리진단법
- 성격심리학
- 아동상담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dsm-5
- 인지행동치료
- 도박중독
- HTP
- 상승척도 쌍
- 마약류 중독 상담
- 불안장애
- Today
- Total
목록심리학 (246)
내마음의 힐링
- 귀인이론에서 있어서 발달과 집단에 따른 차이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일반적인 질문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첫째, 아동과 성인, 여성과 남성, 혹은 소수집단과 비소수집단 학생들이 귀인적인 추론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정보처리 단서나 정보처리전략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둘째, 귀인의 차원이 갖는 '의미'와 귀인 내용, 그리고 이들과 성공에 대한 기대 간의 연관성과 관련하여 발달 또는 집단 차이가 존재하는가? 1. 발달 차이- 발달적인 관점에서 진행된 연구들에서는 연령에 따라 귀인이론의 적용이 달라진다는 점을 제안했다. 아동과 성인이 귀인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정적 단서, 내용 지식, 그리고 추론 도식의 방식에서 발달 차이가 존재한다. 다양한 차원으로 분석한 귀인들에 대한 심리학적 의미에도 발달 차이가 있는..
▣ 자아 (ego) : 현실을 실용주의적으로 다루는 성격의 합리적인 부분▣ 자아 강도 (ego strength) : 원초아, 초자아, 그리고 현실의 경쟁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잘 기능하는 자아의 능력▣ 자아 이상 (ego ideal) : 좋은 행동을 보상하고 완벽을 표상하는 초자아의 한 부분▣ 자유연상 (free association) : 마음에 떠오르는 것은 무엇이든지 주저 없이 말하는 치료절차▣ 잠복기 (latency period) : 남근기의 위기에 따라 나오는 잠시 조용한 시기▣ 잠재몽 (latent content) : 상징적인 꿈 심상의 기초가 되는 근원▣ 저항 (resistance) : 치료 중에 위협적 재료가 의식되는 것을 피하려는 시도▣ 전위 (displacement) : 원래 ..
- 지금까지 우리는 사람들이 성장을 향해 나아가는 자연스러운 경향성을 지니고 있고, 자기 삶의 진로를 조정하는 자유의지를 발휘할 수 있으며, 불일치의 지각을 방어하고, 성장 동기가 동기 위계의 최정상에 위치한다는 낙관적 아이디어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성장과 인간 잠재력에는 또 다른 측면이 있다. 자기실현의 가능성에는 비용이 있다. 즉, 그에는 책임이 뒤따른다. 이것이 실존주의 심리학(existential psychology)의 주요 원칙이다.실존주의(existential)라는 용어는 존재(existence)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 그것은 존재는 누구나 지니고 있는 모든 것임을 주장하는 철학적 관점과 관련된다. 각 사람은 측량할 수 없는 우주에서 누구나 혼자다. 이러한 관점은 개개인이 자신의..
(3) 남근기 (phallic stage)- 남근기는 3~5세까지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 리비도 흥분의 초점은 생식기관으로 옮겨진다. 대부분의 아동이 생식기를 만지는 데서 오는 감각적 쾌락을 자각함에 따라 자위를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성적 욕망의 자각은 본질적으로 완전히 자기 성애적이다. 즉, 성적 쾌감이 완전히 자기 자극에서만 나온다. 그러나 점차 리비도는 반대 성의 부모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소년은 엄마에 대한 관심이 발달하고, 소녀는 아버지에 대한 관심이 발달한다. - 엄마를 차지하고 아버지를 대신하려는 소년 쪽에서의 욕망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한다. 소녀에게서는 이에 비견할 만한 감정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또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라 부른다. 이런 콤플렉스는 많은 면에서 ..
- Freud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주로 치료받고 있는 몇몇 성인 사례에서 도출했다. 그럼에도 그는 아동기 동안에 성격이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관한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는 초기 경험이 성인의 성격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Freud는 성격 발달이 일련의 단계를 거쳐 간다고 보았다. 각 단계는 성감대를 반영하는데, 그 시기 동안 그 영역을 통해 성적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그것을 심리성적 단계라고 부른다. Freud의 견해에서 아동은 세 단계에서 갈등에 직면한다. 갈등이 잘 해결되지 않으면 과도한 에너지가 그 단계에 영구적으로 투자된다. 이 과정을 고착이라 한다. 이는 그 이후의 단계에서 갈등을 다루는 데 이용할 에너지가 줄어듦을 의미하며, 결국 다음 단계에서 ..
(3) 투사 (projection)- 투사(projection)에서는 자신의 받아들이기 어려운 특성을 다른 누군가에게 돌림으로써 불안이 감소한다.투사는 당신이 싫어하는 자신의 측면을 감출 수 있으면서 동시에 고도로 왜곡된 형태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그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당신이 타인에 대한 적대감을 갖고 있고 그것을 억압한다면 그로 인해 그 감정을 인식하지 못할 것이다.그러나 그 감정은 여전히 거기에 있다. 이에 반해 투사에서는 당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 당신을 미워하고 괴롭히려 한다는 지각을 발달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당신의 적대적인 충동이 표현되지만 당신을 위협하지 않는 왜곡된 방식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투사는 두 가지 목적을 제공한다. 그것은 원초아의 욕망이 어떤 형태로..
1. 불안 (anxiety)-문제를 가진 사람뿐만 아니라 완벽하게 정상인 사람의 경우에도 성격 활동이 많은 부분은 불안(anxiety)과 관련된다. Freud(1936/1926)는 불안을 추동 그 자체로 보지 않고, 무엇인가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자아에 대한 일종의 경고 신호라고 보았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불안을 회피하려고 하거나 도피하려고 한다. Freud(1959/1926)는 세 가지 유형의 불안을 구별했다. 세 가지 유형은 각 범주의 나쁜 일을 반영한다. (1) 현실불안 (reality anxiety)- 이는 세상의 위협에서 발생한다. 현실 불안은 당신이 개한테 물릴 것 같거나, 당신의 차가 충돌할 것 같거나, 업무상 실수에 대하여 비난을 받게 되거나, 시험에 떨어질 것 같다고 느낄 ..
▣ 2차 요인 (second-order factor) : 이미 발견된 요인의 집합을 대상으로 다시 행해진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요인▣ 개체기술적 (idiographic) : 개인의 고유함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과 관련되는▣ 내향적인 사람 (introvert) : 혼자서 하는 활동을 선호하는 사람▣ 대인 간 원 (interpersonal circle) : 지배와 사랑의 변이에서 유래하는 성격 패턴▣ 법칙정립적 (nomothetic) : 사람들 사이의 규준과 변이에 초점을 두는 접근에 관련된▣ 병적 소질-스트레스 모형 (diathesis-stress model) : 취약성에 스트레스가 더해져서 행동 문제를 유발한다고 주장하는 이론▣ 상호작용주의 (interactionism) : 상황과 성격이 상호작용해서 ..